국립무용단, 명절 기획공연 '새날' 29일 개막

장병호 2022. 1. 6. 17: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은 명절 기획공연 '새날'을 오는 29일부터 2월 2일까지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공연한다.

이번 공연은 2022년 임인년(壬寅年) 새해를 맞아 기운찬 한 해를 열고 모두의 행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풍성한 우리 춤 잔치로 펼쳐진다.

남성 한국무용의 대가 조흥동의 대표작 '진쇠춤'은 꽹과리를 활용한 절묘한 가락과 소리는 잡귀를 쫓아내고 풍성한 복이 깃드는 새해를 기원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인년 새해 행복 기원하는 춤 잔치
우리 춤 소품 8편 무대로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은 명절 기획공연 ‘새날’을 오는 29일부터 2월 2일까지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공연한다.

국립무용단 ‘새날’ 포스터(사진=국립극장)
이번 공연은 2022년 임인년(壬寅年) 새해를 맞아 기운찬 한 해를 열고 모두의 행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풍성한 우리 춤 잔치로 펼쳐진다.

2022년 ‘새날’은 총 8개의 우리 춤 소품으로 구성했다. 웅장하고 역동적인 북의 울림으로 새로운 생명을 깨우는 ‘태’(안무 박재순)로 강렬한 시작을 알린다. 이어지는 ‘액막이’(공동안무 손인영·김미애)는 한 해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는 전통 의식에서 착안한 작품으로 왕무당의 독무부터 화려한 군무까지 신비로운 음악과 어우러진 한 편의 드라마를 완성한다.

본격적인 잔치가 시작되는 다음 순서는 전통 악기와 우리 춤의 다양한 접목을 통해 각기 다른 방식의 매력을 지닌 춤 3개 작품이 무대를 채운다. ‘보듬고’(안무 박재순)는 국립무용단 레퍼토리 ‘홀춤’에서 초연된 작품으로 이번 무대 또한 독무로 나선다. ‘당당’(안무 송지영)은 맑고 영롱한 방울 소리에 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여성 군무로 섬세함과 강인한 에너지가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남성 한국무용의 대가 조흥동의 대표작 ‘진쇠춤’은 꽹과리를 활용한 절묘한 가락과 소리는 잡귀를 쫓아내고 풍성한 복이 깃드는 새해를 기원한다.

후반부는 한국인의 흥 넘치는 놀이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 이어진다. 소고의 명쾌한 겹 가락에 힘찬 안무가 더해진 ‘평채소고춤’(안무 정관영), 풍류를 아는 선비들이 고고한 자태와 품위를 마음껏 뽐내는 ‘한량’(안무 황용천) 등이다. 공연 대미는 손인영 국립무용단 예술감독과 단원 정길만이 공동 안무한 ‘윷치기놀이’가 장식한다. 대형 윷판으로 꾸며진 무대에서 무용수들이 그려내는 해학 가득한 전통 놀이 한 판을 그려낸다.

연출은 제28회 전국무용제 대통령상을 수상한 작품 ‘펜로즈의 시계’를 연출한 조주현이 맡았다. 음악감독 정종임과 예인집단 ‘아라한’, 영상디자이너 황정남이 창작진으로 참여한다.

티켓 가격 전석 3만원. 국립극장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예매할 수 있다.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