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 교수가 쓴 사회학 소설 '니는 내맹쿠로 살지 마래이'

한무선 2021. 12. 7. 15: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계명대는 최종렬 사회학과 교수가 대구·경북 여성의 삶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사회학 소설로 풀어낸 '니는 내 맹쿠로 살지 마래이'(피엔에이월드, 408쪽)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최 교수는 "지역 여성의 삶을 사회학적으로 탐구해오다 대중과 공감하고자 논문 대신 소설을 쓰게 됐다"며 "소설을 통해 젠더 갈등을 비롯해 가족을 돌보느라 정작 자신의 삶을 돌보지 못하는 여성들이 대를 이어 겪는 시스템 복제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연합뉴스) 한무선 기자 = 계명대는 최종렬 사회학과 교수가 대구·경북 여성의 삶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사회학 소설로 풀어낸 '니는 내 맹쿠로 살지 마래이'(피엔에이월드, 408쪽)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사회학 소설 '니는 내 맹쿠로 살지 마래이' [계명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소설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할머니와 어머니, 딸을 등장인물로 해 사회·문화적 의미의 성을 가리키는 '젠더'(gender)를 기저로 한 스토리를 담았다.

사회학자 특유의 관찰자적 시선에서 시집살이, 여공 생활, 남편 폭력, 사회적 괄시, 동거 등 직접 인터뷰한 여성들이 실제 겪은 사례를 다양하게 변주해 소설적 재미를 더함으로써 사회학 소설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소개한다.

젠더로서 여성을 주체로 삼아 남성 중심의 기존 역사에 가려져 있던 여성들의 삶을 할머니, 어머니, 딸, 3대에 걸쳐 들여다보고 있다.

최 교수는 "지역 여성의 삶을 사회학적으로 탐구해오다 대중과 공감하고자 논문 대신 소설을 쓰게 됐다"며 "소설을 통해 젠더 갈등을 비롯해 가족을 돌보느라 정작 자신의 삶을 돌보지 못하는 여성들이 대를 이어 겪는 시스템 복제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1992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당선된 뒤 소설을 발표하고는 문화 분야로 영역을 넓혀 문화사회학자가 됐다. 현재 한국문화사회학회 회장이기도 하다.

'사회학의 문화적 전환 : 과학에서 미학으로, 되살아나는 고전사회학'(2009), '다문화주의의 사용 : 문화사회학의 관점'(2016), '복학왕의 사회학 : 지방 청년들의 우짖는 소리'(2018) 등을 펴냈다.

mshan@yna.co.kr

☞ 박근혜 "남 속이는 사람은 나랏일 맡을 수 없다"…누구 겨냥?
☞ 추미애 "누구도 김건희가 유흥업소 종사자라 한 적 없어"
☞ 탤런트 출신 사업가 운영 김치업체, 식품위생법 위반 적발
☞ 가세연, '성상납 의혹' 이준석 검찰 고발…"금품수수 의혹도"
☞ 수원∼일산 택시비 '먹튀' 여성 2명 잡혔다
☞ 4살 때 납치된 중국 남성 33년 만에 '생이별' 모친 상봉
☞ MBC 연기대상 '검은태양' 남궁민…작년 SBS 이어 2년 연속 대상
☞ 5층서 택시 추락한 부산 마트 현장 아수라장…추락영상 공개돼
☞ 졸지에 고아된 ESPN 기자 아들에 美 스포츠계 온정 답지
☞ 낯선 소에 울음 터뜨린 여동생…6살 오빠의 한판 승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