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에서 벗어나 치유로.. 현대미술 거장 루이스 부르주아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물의 줄기 같기도 하고, 신체 장기 같기도 한 형상.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에서 루이스 부르주아의 개인전 '유칼립투스의 향기'가 개최된 가운데, '내면으로' 연작이 한국에서 최초로 공개됐다.
유칼립투스는 작가에게 어머니를 상징하는 것이자, 치유를 의미한다.
크고 작은 둥근 것이 올록볼록 솟은 형태인데, 신체의 일부를 떠올리게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물의 줄기 같기도 하고, 신체 장기 같기도 한 형상. 현대미술의 거장으로 불리는 루이스 부르주아는 생애 마지막 10여 년간 이 같은 것을 그리는 데 몰두했다. 제목은 ‘내면으로(Turning inward)’.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자기 성찰에 관한 작업이다.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에서 루이스 부르주아의 개인전 ‘유칼립투스의 향기’가 개최된 가운데, ‘내면으로’ 연작이 한국에서 최초로 공개됐다. ‘내 작업은 고통과 상처를 정화하고, 치유를 위해 존재한다’는 작가의 말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작가는 미술을 통해 마음을 치유하고자 했다. 실제로 과거의 분노와 상처에서 서서히 벗어났다. 국제갤러리 관계자는 “아버지의 외도와 이를 묵인한 어머니를 지켜봐 온 작가의 작품은 초기에는 날이 서 있지만 노년에는 기조가 바뀐다”고 설명했다. 작가의 어머니는 남편의 불륜을 지켜보다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고, 작가는 트라우마를 겪어야 했다.
전시 제목인 ‘유칼립투스의 향기’는 또 다른 작품의 개별 제목이다. 1920년대 후반 프랑스 남부에 거주하며 병든 어머니를 간호했던 작가는 유칼립투스를 태워 약으로 사용했다. 유칼립투스는 작가에게 어머니를 상징하는 것이자, 치유를 의미한다.
작가의 작품에서 어머니는 빼놓을 수 없는 소재다. 작가는 거대한 청동 거미 조각인 ‘마망(프랑스어로 엄마를 뜻하는 말)’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 야외에서 감상할 수 있다.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앞마당에 있던 것이 호암미술관 재개관에 맞춰 용인으로 자리를 옮겼다. 마망은 어머니가 어린 자식을 지키려고 하는 모습을 상징한다.
거울 역시 작가의 작품세계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다. 이번 전시에서는 1998년 작 ‘거울(The mirror)’을 볼 수 있다. 깨지기 쉬운 연약한 심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과거의 상처에서 벗어나 내면을 직시하고 받아들이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전시장에서는 무의식에 관심이 많았던 작가의 초현실주의 풍의 작품도 볼 수 있다. 1967~68년에 제작된 조각 ‘무의식의 풍경(Unconscious Lanscape)’이다. 크고 작은 둥근 것이 올록볼록 솟은 형태인데, 신체의 일부를 떠올리게 한다.
같은 제목이지만 다른 느낌을 주는 조각 작품도 있다. 두 점 다 ‘여성(Femme)’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지만, 상반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하나는 부드럽고 연약한 느낌을, 또 다른 하나는 일그러져 고통 받는 느낌을 준다. 전시는 1월 30일까지.
채지선 기자 letmeknow@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섹스 로봇은 '진짜 여자'가 무서운 남자들에게나 필요하다
- [속보] 김건희 "존경하는 남편 앞에 제 허물 부끄러워" [대국민사과 전문]
- 연인 같은 시어머니와 남편의 비정상적 관계... '애로부부' MC들 조언은?
- 김건희 사과에 이준석 "위축되지 말고 필요한 역할해야"
- 청년들이 여야 대선후보 아닌 홍준표와 소통하는 이유
- 김건희 다녔다는 회사... 두 대학에 낸 '재직 기간'은 달랐다
- 3만1000원 고든 램지 버거 ..."사전예약 30분 만에 만석"
- BTS 슈가 이어 진·RM도 돌파 감염... "진은 감기몸살 증상"
- '밥 딜런 전도사' 양병집 자택서 숨진 채 발견
- 잇따른 논란 속 애물단지 사극, 정말 '역사왜곡' 자체가 문제였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