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결산-SW] 대세는 '클라우드'..공공 SW 제도 개선↑
[아이뉴스24 박진영 기자] 올해는 클라우드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IT업계는 물론, 공공·금융 등 전분야서 클라우드 열풍이 거셌다.
더욱이 향후 클라우드 확산이 가속화됨에 따라 SW시장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클라우드가 국내 SW시장 성장세 이끈다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도입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관련 시장 성장세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IT 시장분석 기관 한국IDC가 최근 발간한 '국내 SW 시장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SW 시장은 전년 대비 3.2% 증가한 6조1천252억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국내 SW시장은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4.1%씩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장기화 대응의 일환으로 비대면·자동화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업들의 SW 도입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의 도입이 가시화되면서 해당 시장의 성장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비즈니스 전반에서 클라우드 퍼스트 전략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SW 시장 전반에 클라우드 SW 도입은 증가하고, 기존 라이선스 기반 시장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운영 효율화를 넘어 비즈니스 민첩성 향상을 위한 SW 도입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김경민 한국 IDC 수석연구원은 "기업의 디지털 혁신에서 SW가 중심이 되면서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경쟁 구도의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면서, "국내 SW 사업자들은 이러한 경쟁 구도의 변화에 대응하는 한편, 생태계 우위 선점을 위한 시장 접근 전략을 구상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데이터와 클라우드 중심의 전략은 필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 백신예약시스템 정상화 공신 '클라우드'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이 빠르게 정상 작동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클라우드'가 있었다. 특히, 장기간 예약 대기로 불편을 겪었던 본인 인증 시스템을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하면서 시스템 정상 작동에 크게 기여했다.
백신예약시스템 안정화 작업에 네이버, 카카오, LG CNS, 베스핀글로벌 등 민간기업들이 무상으로 클라우드 기술 역량과 IT전문 인력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네이버클라우드는 시스템 대문 페이지, 본인 인증 대기 페이지, 예약 신청 대기열 등 약 200여대의 가상머신을 동원해 지원했다. 간편접속 페이지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버 인프라와 서비스 최적화 기술을 제공했다.
이에 따라 사회 전반에서 서버의 탄력적 대응이 가능한 '클라우드'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됐다. 방대한 데이터 시대에 대규모 트래픽을 감당하고, 시스템을 원할하게 작동시키려면 확장이 유연한 클라우드가 필수적이다.
◆ 공공 시스템 오는 2025년까지 100% 클라우드 전환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모든 공공정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100% 전환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 통합 추진계획'을 통해 올해부터 5년 동안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모든 정보시스템 1만 9개를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통합할 계획을 발표했다.
클라우드 전환에 총 5년간 8천 6백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내년도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사업에 2천402억원이 투입된다.
중요 정보시스템은 공공클라우드 센터에서 관리하는 한편, 전체 공공시스템의 절반은 민간클라우드를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분야 클라우드 도입 계획에 따르면, 민간 클라우드 도입 이용률은 내년 28%, 2023년 32%, 2024년 37%로 점차 증가하며 2025년에는 4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국가 안보나 수사·재판, 내부업무 처리 등 보안이 중요한 정보시스템은 행안부 장관이 지정한 공공클라우드센터에서 운영하게 된다. 중앙부처 시스템은 대전과 광주센터에, 공공기관 시스템은 대구센터에 전환·통합된다.
지자체 시스템 등 그밖의 다른 정보시스템은 보안과 안정성을 인증받은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할 방침이다.
◆ 공공 SW 제도 개선…대기업 참여심사 '패스트트랙' 도입
코로나 백신 예약시스템 등과 같이 국가적으로 긴급한 대응이 필요한 공공 소프트웨어사업의 경우 대기업의 참여 여부를 신속히 검토할 수 있도록, 이른바 '패스트트랙'이 도입됐다.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중소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사업 참여 지원에 관한 지침' 개정안을 통해 감염병으로 인한 백신 예약 시스템 구축 등 국가적으로 소프트웨어 긴급발주가 필요한 경우 15일 이내(기존 평균 45일 소요) 대기업 참여제한 예외사업 심의결과를 통보하도록 했다.
이번 고시 개정은 대기업 참여 제한과 관련해 국무조정실 규제 챌린지 검토 등을 거쳐 마련된 것으로, 백신 예약 시스템 먹통 사태를 계기로 이같은 개선방안이 집중 논의 됐다.
이밖에 사업자가 사업 참여 여부를 검토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사업금액을 공개하도록 개선했다. 기존에는 대기업 참여가 인정된 소프트웨어사업을 공시할 때 사업금액을 공개하지 않았다.
/박진영 기자(sunlight@inews24.com)▶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21결산-인터넷] ① 몸집 커진 플랫폼, 성장 속 곳곳 '잡음'
- [2021결산-인터넷] ② "플랫폼 잡자"…쏟아진 규제법들
- [2021결산-통신] 5G 품질논란 속 기업가치↑·탈통신 행보 본격화
- [2021결산-방송] "갈등만 하다 끝났다"…'내 자리 찾기' 분주
- 외식하기 무섭네…서울서 비빔밥 한 그릇 1만1000원
- "1분은 너무 짧아"…유튜브 쇼츠 '최대 3분'으로 길어진다
- '채식주의자' 번역가, "전쟁인데 무슨 잔치" 한강 발언 SNS 공유
- "세계서 가장 외로운 나라 한국"…외신이 본 반려견 문화
- "상위 1%, 1년에 11억 번다"…유튜버 가볍게 제친 '이 직종'
- 중학생 3명 중 1명은 '수포자'…점수 60점 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