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문화] 팬데믹 시대, 당신은 안녕하신가요?..내면의 자화상을 마주하다

김석 2021. 12. 11. 21: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주말 앤 문화 시간입니다.

코로나 펜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특별할 것 없는 그날그날의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는 시간이기도 한데요.

이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시대에 우리 자신을 차분하게 돌아볼 수 있는 자화상 같은 그림들이 전시됐습니다.

김석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그림 속에서 웃고 있는 얼굴.

가만히 눈을 감은 채 미소 짓는 표정.

하지만 이 사람이 누구이고, 어떤 기분인지, 화가는 답을 주지 않습니다.

[변웅필/화가 : "(이 사람은 지금 웃고 있는 건 맞나요?) 표면적으로 그렇죠. 그런데 내면적으론 모르는 거죠."]

감상하고 해석하는 건 전적으로 관람자의 몫입니다.

얼굴 이목구비를 최소한의 선과 면과 색으로 절제해서 표현한 이유, 독일 유학길에 올라 화가로 활동하기까지 11년을 이방인으로 보낸 경험 때문이었습니다.

[변웅필/화가 : "독일 유학 시절의 그런 선입견에 대한 경험에서 비롯됐거든요. 그래서 사람을 그릴 때 이 사람의 성별이나 직업 또는 사회적 신분 같은 것들, 그러니까 누군가를 구별하고 판별하는 또는 차별하는 그런 기준이 되는 요소들을 다 빼는 거죠."]

오랜 고민과 실험 끝에 아무도 아닌, 그래서 그 누구도 될 수 있는 보편적인 인간의 형상을 만들어냈습니다.

그리고 그 얼굴에 웃는 표정을 담았습니다.

[변웅필/화가 : "어떤 특별한 사람, 연예인이나 무슨 뭐 그런 유명한 사람들이 아니고 가장 보편적인 사람을 좀 표현하고 싶었거든요. 그래서 선택한 것이 미소 짓는 얼굴이었습니다."]

보기엔 쉬운 그림일지 몰라도 가장 좋은 재료를 찾는 일부터 캔버스를 짜고, 그림을 완성하기까지 한 땀 한 땀 모든 정성을 쏟아붓습니다.

그런 장인 정신이 대중과 소통하는 가장 정직한 길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변웅필/화가 : "정말 행복이 전 딴 게 아니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때가 행복하다고 봐요. 거기서 아주 작은 미소 하나가 굉장히 큰 힘이 될 거라 생각하거든요. 그게 팬데믹을 이기는 힘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팍팍한 일상 속에서 잃어버린 우리 자신의 모습을 자화상처럼 마주하게 하는 그림 70점이 관람객을 기다립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촬영기자:고성준/영상편집:강정희/문자그래픽:박세실

김석 기자 (stone21@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