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년째 임원이 직업"..100대 기업 최장수 임원 누구?

장유미 2021. 12. 11.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찬의 삼천리 부회장, 1991년부터 '별' 달아..'오초임원' 임시직원 확률 ↑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임시직원'이라고 불릴 만큼 임원이 되고 2~3년 후에 회사를 떠나는 이들이 많은 가운데 10년 넘게 자리를 지키고 있는 장수 임원들도 있어 재계의 주목 받고 있다.

국내 100대 기업 중 최장수 임원은 이찬의 삼천리 부회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아이뉴스24 DB]

11일 기업분석전문 CXO연구소가 '100대기업 전문경영인 임원 이력'을 추적 조사한 결과, 국내 100대 기업 중 최장수 임원은 이찬의 삼천리 부회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1954년생으로 올해 만 67세인 이찬의 부회장은 1991년에 삼천리 이사직을 맡으며 임원 반열에 처음 등극했다. 1991년 당시 삼천리 최고경영자이던 고(故) 인현철(1929년생) 대표이사 회장과 이찬의 부회장과의 나이 차이는 25년이었다.

같은 회사에서 50~60대에 해당하는 1930~1940년대 초반생들이 당시 임원의 주류를 이어오던 상황에서 1950년대생으로 30대인 이찬의 부회장이 이사에 발탁된 것은 당시로서는 상당한 파격이었다. 이후 이 부회장은 임원 경력을 꾸준히 쌓으며 삼탄과 키데코(KIDECO) CEO 등을 거쳐 현재 삼천리 부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처음 임원이 된 년도부터 포함하면 올해까지 31년 간 임원 자리를 굳건히 지켜오고 있는 셈이다.

CXO연구소 관계자는 "일반 직장인들도 30년 간 회사를 다니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찬의 부회장에게 임원은 남다른 의미가 있다"며 "향후 이찬의 부회장이 재계에서 임원 경력과 관련해 어떤 기록을 세워나갈 지도 관심사"라고 밝혔다.

금춘수 한화그룹 부회장 [사진=아이뉴스24 DB]

이찬의 부회장을 제외해도 20년 이상 임원으로 재직 중인 최고경영자는 이번 조사에서 10명을 훌쩍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금춘수(1952년생) 한화 총괄 부회장은 지난 1995년 2월 1일자로 (주)한화 이사보로 오른 후 올해로 27년 간 임원 간 한화 그룹에서 임원으로 활약해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978년에 입사한 금 총괄 부회장은 한화그룹 경영기획실 사장과 한화차이나 사장, 한화그룹 총괄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40년 넘게 한화그룹에서 성장해온 정통 '한화맨'이다.

HMM 배재훈 사장도 임원 경력만 올해로 26년이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배 사장의 재계 입문은 LG그룹에서 시작됐다. LG에 입사한 후 1995년 12월 12일자로 당시 LG반도체 이사대우로 승진하며 처음 임원 타이틀을 얻었다. 이후 LG계열사인 판토스 대표이사 등을 거쳐 2019년에 현재의 HMM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25년 간 임원으로 재직 중인 경영자도 김기남 삼성전자 회장,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 임병용 GS건설 부회장 등 세 명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처음 임원 명함을 받았다. 이 중에서도 나이가 가장 젊은 임병용 부회장이 임원 배지를 가장 먼저 달았다.

1962년생인 임병용 GS건설 부회장은 1996년 12월 11일자로 당시 LG텔레콤 이사로 선임되며 재계의 별로 올라섰다. 임 부회장은 LG그룹 임원이 되기 전까지는 검사 출신으로 법조계에 몸을 담고 있었다.

김기남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회장 [사진=삼성전자]

최근 부회장에서 승진한 김기남 삼성전자 회장은 1997년 1월 17일자로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서 1기가 D램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수석연구원에서 이사보급 연구위원으로 임원 대열에 합류했다. 당시 김 회장의 나이는 39세였다. 1997년 1월 인사 발표 당시 삼성 계열사에서 임원으로 승진한 30대는 김기남 회장을 포함해 4명이 있었다.

1961년생인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도 1997년 7월부터 미래에셋자산운용 대표이사(상무)를 맡기 시작하며 미래에셋금융그룹의 초석을 다져왔다. 미래에셋금융그룹 총수인 박현주 회장이 1997년 당시 최현만 회장을 포함해 동원증권에서 활약했던 8명과 합심해 성장시켜온 것이 지금의 미래에셋금융그룹으로 도약했다.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은 1998년에 미국 피앤지(P&G)가 운영하는 한국법인 쌍용제지 대표이사 사장과 P&G한국법인 총괄 사장을 맡았다. 이 때부터 계산하면 국내에 소재한 기업에서만 24년 간 임원으로 활약 중이다. 차 부회장의 경우 외국 기업에서 활동한 이력도 있다.

정호영 LG디스플레이 사장은 1999년 12월 20일자로 LG전자 상무보로 승진해 지금까지 LG그룹 내에서 핵심 임원으로 활약 중이다. 이후 정 사장은 LG전자 부사장과 LG화학 사장 등을 거치며 발군의 능력을 보여줬고, 2019년에 현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자리에 올라섰다.

김정남 DB손해보험 부회장 역시 DB그룹(옛 동부그룹)에 입사해 2000년 4월부터 동부화재 지방영업본부장(상무보)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임원 경력만 22년째다. 김 부회장도 일반 직원에서 시작해 최고경영자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경영자 중 한 명이다.

최근 승진한 전영현 삼성SDI 부회장은 LG반도체 연구원으로 재직하다 지난 2001년 삼성전자 연구위원으로 발탁된 것이 임원의 시작점이다. 전 부회장은 삼성전자에서 사장까지 역임하고 2017년에 삼성SDI 대표이사를 맡아오다 이번 2022년 인사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올해로 임원 경력 20년을 맞이한 최고경영자는 3명 있었다. 최희문 메리츠증권 부회장은 2002년 에 삼성증권 캐피털마켓사업본부 본부장(상무)을 맡으며 국내 기업에서만 올해로 20년째 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최 부회장은 삼성증권 이전에 골드만삭스 등 해외 기업에서 활약해온 이력도 갖고 있어 실제 임원 경력은 20년보다 더 길다.

옥경석 한화 사장은 2002년 1월에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총괄 메모리지원팀장인 상무보에 오르며 처음 임원 자리에 올랐다. 이후 한화로 자리를 옮겨 한화케미칼, 한화건설 사장을 거쳐 현재 한화 대표이사직을 맡고 있다.

조용일 현대해상 사장도 2002년 6월에 현대해상 이사대우로 승진했다. 이후 같은 회사에서만 줄곧 전무, 부사장을 하며 직장인이 오를 수 있는 최고 자리인 CEO 자리까지 앉았다.

차석용 LG생건 부회장 [사진=LG생활건강]

임원 경력과 달리 100대 기업에서 대표이사직을 가장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는 CEO는 차석용 LG생건 부회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차 부회장은 지난 2005년에 본격적으로 지금의 LG생건 대표이사 사장 자리에 올라 올해까지 17년째 CEO를 역임해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차 부회장은 1998년 국내에 소재한 기업 중에서는 쌍용제지 대표이사직에 처음 올랐다. 당시 차 부회장의 나이는 45세로, 이미 40대 중반에 사장 타이틀을 달고 CEO로 처음 등극했다. 이 때부터 계산할 경우 차 부회장은 지금까지 CEO 경력만 해도 20년이 넘는다.

CXO연구소 관계자는 "차 부회장은 비(非)오너이면서 최장수 CEO로 활동하고 있는 레전드급 전문경영인"이라고 평가했다.

최희문 메리츠증권 부회장과 김정남 DB손해보험 부회장도 올해 12년째 대표이사로 재직 중인 장수 CEO에 속한다. 두 명의 최고경영자는 지난 2010년부터 대표이사 자리에 올랐다. 최희문 부회장은 골드만삭스와 삼성증권 임원 등을 거쳐 지금의 메리츠증권으로 자리를 옮긴 영입파형 경영자다. 김정남 부회장은 DB손해보험(옛 동부화재)에서 임원이 돼 최고경영자까지 오른 한우물형 CEO형에 속한다.

10년 미만 CEO 중에서는 임병용 GS건설 부회장이 가장 눈에 띈다. 임 부회장은 지난 2013년 6월에 같은 회사에서 대표이사직을 맡아온 것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권오갑 현대중공업그룹 회장도 지난 2014년 10월부터 한국조선해양 대표이사 사장 자리에 올라 그룹 회장 자리까지 올랐다. 권 회장은 현재 현대중공업지주 대표이사도 겸하고 있으며 과거 현대오일뱅크와 현대중공업스포츠 대표이사 등도 역임한 바 있다. 지난 2008년에 울산현대축구단 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이력부터 CEO 경력을 합치면 15년 가까이 된다.

100대 기업 CEO 중 30대에 임원 반열에 오른 이는 5명 내외로 파악됐다. 이 중에서도 임병용 GS건설 부회장은 만 34세 나이에 임원 명함을 가장 빨리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1962년생인 임 부회장은 장훈고와 서울대 법학과와 동대학원에서 세법 석사를 받아 공인회계사와 사법고시 2개를 합격한 인재다. 수원검찰청에서 검사 생활을 하다 LG그룹으로 자리를 옮겨 재계에 발을 들였고, 지금은 GS그룹에서 활약 중이다.

이 외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 이찬의 삼천리 부회장, 정호영 LG디스플레이 사장, 김기남 삼성전자 회장도 조사 대상 CEO 중 30대에 기업의 꽃인 임원 자리에 올랐다. 메리츠증권 최희문 부회장은 삼성증권에 임원으로 등극한 나이가 38세이지만, 외국 임원 경력까지 합치면 이보다 이른 나이에 임원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표=CXO연구소]

100명이 넘는 이번 조사 대상 CEO 중 30대와 45세 미만에 첫 임원으로 올라선 경우는 31.7%(39명)나 됐다. 100대 기업 CEO 3명 중 1명꼴로 30대 말 40대 초반(35~44세) 전후로 기업의 별로 올라서는 이른바 '사초임원(四初任員)' 에 해당됐다. '사초임원' 그룹에 이름을 올리게 되면 임원 경력도 15년을 넘고 CEO까지 올라설 기회도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CXO연구소 관계자는 "실제 45세 이전에 처음 임원이 된 CEO들의 평균 임원 기간은 18년 정도로 길었다"며 "그만큼 30대 말 4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탁월한 성과를 보여주는 핵심 인재일수록 최고경영자 반열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아진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이와 달리 반대로 48~54세 사이 50대 초반 즈음에 임원이 되는 '오초임원(五初任員)' 중에는 2~3년 정도하고 물러나는 '임시직원'이 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초임원이 수재(秀才)형 인재라면 오초임원은 노력(努力)형에 속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같은 임원이라고 해도 최초 임원을 언제 하는지에 따라 CEO까지 갈 수 있느냐 아니면 임시직원으로 끝나는 지가 결정되는 셈이다.

오일선 CXO연구소장은 "이미 국내 재계에서는 30년 전부터 30대 말 40대 초반에 해당하는 능력 있는 젊은 인재들을 임원으로 발탁해오고 있기 때문에 최근 30대 젊은 임원들이 등장하는 것이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며 "중요한 것은 40대 초반 전후로 임원으로 발탁되는 이들이 2~3년만 활동하고 물러나는 임시직원이 아니라 10~20년 넘게 기량을 활약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주는 기업 문화를 만들어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전문경영인이 '회장(會長)' 직위까지 오르는 사례가 지금보다 점점 많아질 것"이라며 "전문경영인 회장 전성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