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일제강점기 조선은 '미신의 시대'

이기욱 기자 2021. 12. 11. 03: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이 잘 풀리지 않거나 미래가 궁금할 때 점집을 찾는 이들이 있다.

종교학자인 저자는 일제강점기 신문기사와 경찰·재판 기록을 들춰 당시 대중 사이에 퍼져 있던 미신의 실태를 살펴본다.

미신이 조선인들을 하나로 단결시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본 총독부가 미신 퇴치에 나섰기 때문이다.

전근대 시대의 유물로 간주돼 온 미신을 통해 일제강점기 사회상을 복원한 저자의 시도가 신선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신의 연대기/이창익 지음/544쪽·2만5000원·테오리아
일이 잘 풀리지 않거나 미래가 궁금할 때 점집을 찾는 이들이 있다. 실패의 두려움, 미래의 불확실성을 미신에라도 기대어 해소하려는 시도다. 원하는 답이 아니더라도 잠시나마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고들 한다. 종교학자인 저자는 일제강점기 신문기사와 경찰·재판 기록을 들춰 당시 대중 사이에 퍼져 있던 미신의 실태를 살펴본다. 절망적인 식민 지배기 사람들이 의지한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저자는 극단의 상황에도 포기하지 않는 인간 본성이 미신을 만든다고 말한다. 1935년 7월 광주에서는 가뭄이 한 달 넘게 이어지자 마을 여성들이 무등산 정상에 올라가 단체로 소변을 보는 독특한 ‘기우제’를 지냈다. 대개 성스러운 장소로 여겨지는 산 정상을 방뇨로 더럽히면 오염물을 씻어내기 위한 신성한 힘이 작동해 비가 내릴 거라고 믿은 것.

미신은 절망의 감정과 결합돼 더 강해졌다. 당시 치료법이 없던 나병은 ‘걸리면 끝’이라는 공포감을 안겨줬다. 이에 인육을 먹으면 나병이 낫는다는 미신이 퍼졌다. 실제로 1930년 3월 10일 전남 나주군에서 한 여자가 나병을 앓는 남편을 위해 자신의 왼쪽 허벅지살 450g을 잘라 구워 먹인 사실이 신문에 보도됐다.

망국에 이어 전염병까지 확산된 20세기 초 미신은 조직화된 종교 형태로 확대됐다. 1900년경 만들어진 백백교가 대표적인 사례. 백백교는 동학사상과 조선시대 민간 예언서 정감록을 버무린 사이비 종교였다. 백백교 교주와 간부들은 세상은 망하지만 신도들은 살아남을 거라고 현혹한 뒤 재산을 빼앗고 성폭행을 일삼았다. 이들은 범죄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신도 346명을 살해했다.

이 같은 미신들은 이제 남아 있지 않다. 미신이 조선인들을 하나로 단결시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본 총독부가 미신 퇴치에 나섰기 때문이다. 저자는 “우리가 사는 세계가 얼마나 많은 믿음을 지우고 탄생한 세계인지 알기 바란다”고 썼다. 전근대 시대의 유물로 간주돼 온 미신을 통해 일제강점기 사회상을 복원한 저자의 시도가 신선하다.

이기욱 기자 71wook@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