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12.10.)

2021. 12. 10. 14: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12.10.)    ※ 22쪽 접촉자 관리 상황 표 내 구분 번호 수정(17:03),  6쪽, 23쪽 수치 오기 일부 수정(12.16., 10:30)

3차접종 간격 3개월로 단축하여 감염예방효과 향상


○ 3차접종 간격을 18세 이상 전체를 대상으로 3개월로 단축


○ 일괄 변경된 3차접종 간격에 따라, 접종간격이 도래한 분들을 대상으로 12월 13일(월)부터 사전예약 실시




OECD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사례 비교


○ 우리나라를 제외한 OECD 회원국(37개국) 중 13개국(35.1%)에서 피해보상제도 운영


○ 우리나라 예방접종 인원(100만 명당) 대비 피해보상 인정률*은 67건


* (인정률) 핀란드 20건, 노르웨이 1.9건, 스웨덴 1.4건, 일본 0.7건, 미국 0.004건


○ 인과성 평가 근거 불충분한 경우에도 의료비 지원 중


- '22년부터 인과성 불충분 사망자 위로금 신설(1인당 5천만 원)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2월 10일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은 44,915명으로 총 42,871,274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이 중 54,713명이 2차 접종을 완료하여 총 41,568,595명이 2차 접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3차 접종은 439,915명으로 총 5,289,734명이 3차 접종을 받았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명,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1)


누적 접종(A+B)1)


인구2)대비 접종률


18세


이상


60세 이상


1차


42,826,359


44,915


42,871,274


83.5


93.9


93.6


2차


41,513,882


54,713


41,568,595


81.0


92.0


92.5


3차


4,849,819


439,915


5,289,734


10.3


12.0


26.6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접종 시 ‘1차 접종’과 ‘2차 접종’ 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부스터)의 경우 3차(부스터) 합계에 추가


2)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명)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


누적 접종(C=A+B)



1차(a=d+f+i+l)


42,826,359


44,915


42,871,274


2차(b=e+g+j+l)


41,513,882


54,713


41,568,595


3차(c=h+k+m)


4,849,819


439,915


5,289,734


AZ1)


1차(d)


11,122,692


2


11,122,694


2차(e)


11,041,504


852


11,042,356


교차접종


1,772,948


732


1,773,680


PF


1차(f)


23,483,244


41,473


23,524,717


2차(g)


22,506,166


45,208


22,551,374


3차(h)


3,675,482


258,149


3,933,631


M1)


1차(i)


6,718,522


3,112


6,721,634


2차(j)


6,464,311


8,325


6,472,636


교차접종


58,113


2,779


60,892


3차k)


1,157,008


181,291


1,338,299


J2)(i)


1차(l)


1,501,901


328


1,502,229


2차(m)


17,329


475


17,804


1)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백신의 경우 AZ-PF, M-PF 교차접종자를 포함시키고, AZ-PF, M-PF 교차접종자 통계 추가로 표시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1차 접종’과 ‘2차 접종’ 합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 12월 10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단위 : 명,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차(B)


2차(C)


3차(D)


1차


(B/A)


2차


(C/A)


3차


대상자** 대비


인구대비


(D/A)



51,349,116


42,871,274


41,568,595


5,289,734


83.5


81.0


31.1


10.3


성별


남성


25,602,326


21,395,260


20,713,769


2,549,610


83.6


80.9


31.5


10.0


여성


25,746,790


21,476,014


20,854,826


2,740,124


83.4


81.0


30.8


10.6


연령


80세 이상


2,255,736


1,911,135


1,869,128


1,234,616


84.7


82.9


68.3


54.7


70-79세


3,757,129


3,540,171


3,504,694


1,336,203


94.2


93.3


39.0


35.6


60-69세


7,140,703


6,856,517


6,787,182


931,770


96.0


95.0


14.3


13.0


50-59세


8,570,076


8,268,788


8,167,106


449,655


96.5


95.3


39.2


5.2


40-49세


8,109,221


7,571,180


7,415,509


445,034


93.4


91.4


31.7


5.5


30-39세


6,686,639


6,119,951


5,905,662


727,616


91.5


88.3


44.2


10.9


18-29세


7,619,756


7,191,961


6,946,182


164,840


94.4


91.2


15.7


2.2


12-17세


2,768,836


1,411,571


973,132


-


51.0


35.1


-


-


11세 이하


4,441,020


-


-


-


-


-


-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21.12.31일 기준 연령대별 접종간격 도래자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 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2. 3차접종 간격 3개월로 단축하여 감염예방효과 향상


□ 추진단은 현재 2차접종 완료 4, 5개월 이후로 권고 중인 3차접종 간격을 18세 이상 전체를 대상으로 3개월로 단축한다고 밝혔다.

   * 단, 얀센백신 접종자와 면역저하자는 2개월 유지

 ○ 현재는 ①60세 이상 고령층 및 18~59세 고위험군은 4개월 이후, ②18~59세 일반 국민은 5개월 이후로 접종 간격을 권고하고 있으며,

   - 개인 사정(해외출국, 질병치료 등)이나 단체접종(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 등) 일정상 불가피한 경우, 또는 잔여백신 접종 희망자 등의 경우는 각각 3개월, 4개월로 1개월을 단축하여 접종 가능했다.

 ○ 그러나, 국내 방역상황이 지속 악화되고, 사회활동이 활발한 연령층도 신속한 3차접종을 시행하여 코로나19 유행을 억제하고자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12.9.)를 거쳐 이같이 결정하였다.

 【 대상군별 3차 접종간격 】 

대상군


현행


변경 후


60세 이상


4개월


3개월


18-59세 고위험군


(①감염취약시설 입소·종사자, ②요양병원 입원·입소·종사자, ③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 ④의료기관 종사자(의원 등), ⑤1기저질환자)


18∼59세 일반국민


5개월


얀센백신 접종자, 면역저하자


2개월


2개월


□ 현재, 우리나라의 방역상황은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수도권 대응 역량은 한계치에 도달했으며, 신종 변이바이러스 오미크론 국내 유입, 60대 고령층 위중증 증가 등 위험요인이 지속 유지되고 있다.

 ○ 12월 10일(금) 0시 기준 확진자 수는 7,022명으로, 최근 며칠간 7천 명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재원중 위중증 환자 852명, 사망자 53명(누적 4,130명)으로 환자도 급증하고 있다.

 ○ 또한, 신종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국내 유입으로 감염자가 발생하고 있고, 최근 영국에서도 오미크론 변이에 대비하여 단기간 면역확보 인구를 확대하기 위해 3차접종 대상을 확대(40세 이상 → 18세 이상)하고 간격을 단축(6개월 → 3개월)한 바 있다.

□ 일괄 변경된 3차접종 간격에 따라, 접종간격이 도래한 분들을 대상으로 12월 13일(월)부터 사전예약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사전예약은 기존 방식과 같이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누리집(http://ncvr.kdca.go.kr)을 통해 진행되며, 예약일을 기준으로 2일 후부터 접종일 선택이 가능하다.

   - 네이버와 카카오톡을 이용한 SNS 당일 예약 또는 의료기관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려 당일 접종하는 잔여백신 접종 또한 12월 13일(월)부터 바로 가능하다.

 ○ 원활한 접종 시행을 위하여, 다음 주 월요일부터 백신 추가 여유 물량이 의료기관으로 배송될 예정이며, 한시적으로 특정 기관에서 백신이 부족할 수 있어 보건소를 통해 추가 배송이 가능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 의료기관에서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하여 예약한 대상자가 순조롭게 접종받을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를 당부하였다.

□ 추진단은, 중증 예방 및 고령층 보호의 예방접종 목표에 더해,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코로나19 유행을 억제하기 위하여 18세 이상 연령층의 모든 2차접종 완료자를 대상으로 조속히 3차 접종을 시행함에 따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하였다.

 ○ 접종간격이 도래한 분들께서는 델타변이 유행을 신속히 차단하고,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 대비하기 위하여 3차접종까지 반드시 받아줄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3. OECD 회원국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사례 비교


□ 추진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인정 비율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 재외공관을 통해 OECD 각국의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제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외 37개 회원국 중 13개국(35.1%)이 국가예방접종 피해보상제도를 운영 중이며, 이 중 6개국(16.2%)에서 피해보상 인정 건이 확인되었다.

     * 11.23 기준으로 37개국 중 23개국 회신 

 ○ 예방접종 인원 대비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인정 비율은 우리나라가 100만 명 당 67건으로 핀란드 20건, 노르웨이 1.9건, 스웨덴 1.4건 등 북유럽 국가들과 일본 0.7건, 미국 0.004건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OECD 회원국 보상인정 현황>   (‘21.11.23. 기준, 단위 : 명, 건, 100만 명당 건)

구분


국가


접종인원


피해보상


보상 인정


보상 인정 비율 (100만명당)


한국(12.1. 기준)


4,257만


2,865


67.3


핀란드


818만


167


20.4


노르웨이


421만


8


1.9


스웨덴


726만


10


1.4


덴마크


450만


6


1.3


이스라엘


626만


2


0.1


미국


22,266만


1


0.004


영국


4,472만


0


0


일본(10.5. 기준)


9,599만


66


0.7


 * 자료원(공문): 외교부 협조를 통해 재외공관을 통한 자료 확보, 11.23. 기준 37개국 중 23개국이 회신. 일본은 기존 재외공관 제출 자료를 활용 

 ○ 또한, 우리나라는 이상반응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를 위해 인과성 평가 근거가 불충분한 경우에도 의료비를 기존 1천만원에서 최대 3천만원까지 확대(10.28) 하였으며, ’22년부터는 인과성 평가 근거가 불충분한 사망자 위로금(인당 5천만원)을 신설하여 소급 지원할 예정이다. 

□ 추진단은 앞으로도 해외 주요국들의 보상 사례를 검토함과 동시에 코로나19 백신 안전성위원회 운영을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보상 및 지원 범주 확대를 위해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 

4.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분양 현황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 등에 분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12.8.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는 현재까지(’21.12.8.) 총 83개 기관에 1,063건이 분양되었다.

   -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351건, ▲진단기술 개발용 696건, ▲기타 융합연구 등 16건이 분양되었으며,

   - 변이 유형별로는 ▲주요 변이주(VOC)는 547*건, ▲ 모니터링 변이주(VUM)는 515**건, ▲관심 변이주(VOI) 1건이 분양되었다.

    * 주요 변이주(VOC) : 알파형(158), 베타형(154), 감마형(104), 델타형(130), 델타플러스(1)

   ** 모니터링 변이주(VUM) : 입실론형(165), 제타형(84), 에타형(77), 아오타형(80), 카파형(107)

  ***  관심변이주(VOI) : 뮤형(1)

 ○ 국립보건연구원은 향후 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변이주에 대한 자원 수집을 민간부분으로 확대하여,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분양문의) 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 043-913-4270, 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http://nccp.kdca.go.kr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하는 코로나19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기탁자원임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1.12.8. 0시 기준)]

목적


자원


백신·치료제연구


진단기술연구


기타



분양기관


18


63


2


83


분양수(주)


351


696


16


1,063


V


O


C



알파형


(영국 GRY: B.1.1.7)


55


100


3


158


베타형


(남아프리카공화국 GH: B.1.351)


52


99


3


154


감마형


(미국/브라질 GR: P.1)


36


67


1


104


델타형


(인도 G: 1.617.2)


56


72


1


129


델타형


(인천 GK: B.1.617.2 K417N 포함)


-


-


1


1


델타플러스형


(서울 GK: AY.1)


-


-


1


1


VOI주


뮤형


(콜롬비아 GH: B.1.621)


1


-


-


1


V


U


M


주*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7)


22


55


1


78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9)


27


59


1


87


제타형


(브라질 GR: P.2)


28


53


3


84


에타형


(영국/나이지리아 G: B.1.525)


21


55


1


77


이오타형


(미국/뉴욕 GH: B.1.526)


21


58


1


80


카파형


(인도 G: 1.617.1)


33


73


1


107


기타형


(경기 G: B.1.619)


-


-


1


1


기타형


(서울 G: B.1.620)


-


-


1


1


* WHO SARS-CoV-2 variants 분류변경으로 인하여 기존의 VOI에서 VUM으로 변경 

  (참고. Tracking of SARS-CoV-2 variants, WHO) (’21. 10. 1. 기준)

5. 코로나19 치료제 투약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치료제 투약현황(12.9.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먼저, 코로나19 치료제인 ‘베클루리주(길리어드, 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 181개 병원 23,675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셀트리온, 레그단비맙)’는 현재까지 168개 병원 등 28,816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혈장치료제의 경우, 임상시험 목적 이외의 치료목적*으로 49건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아 사용 중이다.

    * 다른 수단이 없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해 허가되지 않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이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6.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2월 1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52명, 사망자는 5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4,130명(치명률 0.82%)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관리 현황*】

구분


재원중 위중증 환자**


사망누계


입원환자***


12.9.(목) 0시 기준


857


4,077


945


12.10.(금) 0시 기준


852


4,130


796


변동


(-)5


(+)53


(-)149


* 12.9. 0시부터 12.10.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일일 신규 입원 환자 수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983명, 해외유입 사례는 3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02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503,606명 (해외유입 16,016명)이다.

구분


합계




부산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






국내


6,983


2,786


303


163


463


35


157


43


10


2,022


150


94


158


97


69


182


204


47


0


해외


39


14


0


0


2


0


0


0


0


8


2


0


2


0


0


1


2


0


8


합계


7,022


2,800


303


163


465


35


157


43


10


2,030


152


94


160


97


69


183


206


47


8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월 10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15명(+0), 국내감염 48명(+3)이 확인되어 총 63명(+3)이라고 밝혔다. 

(단위 : 명)

구분


해외


국내


총계


신규


-


3


3


누계


15


48


63


※ 상기 통계는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2월 10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3쪽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12월 1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98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5,836.3명), 수도권에서 5,271명(75.5%) 비수도권에서는 1,712명(24.5%)이 발생하였다.

(주간: 12.4.~12.10., 단위: 명)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12.10.(0시 기준)


6,983


5,271


419


201


345


550


150


47


주간 일 평균


5,836.3


4,431.7


395.7


181.3


264.0


397.7


125.6


40.3


주간 총 확진자 수


40,854


31,022


2,770


1,269


1,848


2,784


879


282


주간 발생률*


11.3


17.0


7.1


3.6


5.2


5.1


8.1


6.0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7. 인플루엔자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청은 지난주 인플루엔자 발생 동향을 공유하고, 급성호흡기감염증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2021년 49주(11.28~12.4)의 인플루엔자의사환자(ILI)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2.4명*(전년 동기간 2.8명)으로 유행기준(5.8명)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 현황 >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수)


구분


46주


(11.7.~11.13.)


47주


(11.14.~11.20.)


48주


(11.21.~11.27.)


49주


(11.28.~12.4.)


2021-2022절기


4.0명


3.6명


3.5명


2.4명


2020-2021절기


3.3명


3.2명


2.6명


2.8명


* (자료원) 전국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기관(의원급 의료기관 199개소) 주간 단위 보고자료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 38.0℃ 이상의 갑작스런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이 있는 자

* 2021-2022절기 유행주의보 발령 기준 : 5.8명 / 외래환자 1,000명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외래환자) 그림 붙임 참고>

 ○ 2021년 49주(11.28~12.4)에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의료기관(의원급 의료기관 63개소)을 방문한 호흡기감염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병원체 감시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 감기 증상을 일으키는 리노바이러스와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의원급 의료기관 호흡기 바이러스 감시(49주) : 의뢰 검체 120건 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0건, 리노바이러스 58건(48.3%), 파라인플루엔자 17건(14.2%), 아데노바이러스 3건(2.5%),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1건(0.8%) 등

□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겨울철 인플루엔자 유행 가능성이 있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대상자 중 아직 접종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서둘러 예방접종을 받아줄 것을 권고하였다. 

 ○ 특히 연말, 연시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할 것과, 마스크 착용, 손씻기 및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예방접종 대상자*의 75.1% 접종 완료(12월 7일 현재)

     * 어르신(만 65세 이상), 임신부, 어린이(생후 6개월 ~ 만 13세)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누적)확진’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오미크론 변이 관련 사례 현황(12.10. 0시 기준)

        4. OECD국가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피해보상 현황

        5.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주요 질의응답

        6. 식당·카페 방역패스 및 방역수칙 안내

        7. [2판]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이용자용)

        8. [2판]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사업자용)

        9. 접종증명·음성확인제 가이드 포스터 (이용자용)

       10. 접종증명·음성확인제 가이드 포스터 (사업자용)

       11.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2.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간격 단축 안내

       13.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의료기관 유의사항

       14.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15.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6.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17. 소아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18.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안내 홍보물

       19.「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