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엘리베이터 타고 지하철역.. 신안산선·GTX 역사 복합개발

오경묵 기자 2021. 12. 9. 20: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창동역 복합개발 공공주택 조감도. /국토교통부

정부가 영등포역, 창동역 등 8곳의 철도역사를 공공주택으로 복합개발하는 사업을 통해 청년 주택 1000가구를 공급한다. 신규 민자·광역철도 사업에 철도·주택 복합개발을 의무화하고, 개발이익을 환원해 철도 요금을 낮추는 방안도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의 ‘철도역사, 공공주택 복합개발’ 사업계획을 9일 발표했다. 철도역사 공공주택 복합개발은 철도 사업자가 철도역을 건물형으로 지으면서 하부 층은 철도 출입구, 상부층은 주택으로 짓는 형태다. 주택 부분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나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이 매입해 청년을 위한 매입임대나 장기전세주택 등으로 공급한다.

정부는 각각 2025년, 2027년 개통 예정인 신안산선과 GTX-C 노선의 8개 역사에 최대 1000가구를 공급하는 시범사업을 하기로 했다. 신안산선은 영등포역, 대림삼거리역, 시흥사거리역, 한양대역 등에 약 500가구를 공급한다. GTX-C 노선은 창동역, 청량리역, 양재역, 덕정역 등에 약 500가구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영등포역사의 경우 기존 2층 규모의 철도출입구에 구조 보강을 통해 8개 층을 증축해 주택을 짓는다. 한양대역사는 캠퍼스 혁신파크 지정 예정부지에 추가 출입구 설치를 협의하고 있는데, 출입구가 설치되면 공공주택이 공급된다.

정부는 장기적으로 신규 민자·광역철도의 복합개발을 의무화하고, 넓은 부지를 확보해 주택 뿐만 아니라 업무·상업 기능도 추가한다는 계획이다. 복합개발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은 철도 요금 인하나 철도 운영비 보조 등에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