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 계속 늘면 온도 4도 올라가고, 800mm 폭우 온다

강민구 2021. 12. 9. 16: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온실가스 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께 전 지구 평균 온도가 약 4도 올라가고, 일부 지역에서는 일 강수량 800mm 이상의 폭우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 연구단장 연구팀이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복합지구시스템모델 그룹과 인간의 활동이 대기·해양·육지·빙권 등 생태계 전반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증거를 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 한미 공동 연구로 시뮬레이션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온실가스 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께 전 지구 평균 온도가 약 4도 올라가고, 일부 지역에서는 일 강수량 800mm 이상의 폭우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 기후물리연구단장.(사진=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 연구단장 연구팀이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복합지구시스템모델 그룹과 인간의 활동이 대기·해양·육지·빙권 등 생태계 전반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증거를 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최신 지구 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1850년부터 2100년의 평균 기후뿐만 아니라 수일 주기의 날씨에서 수 년 주기의 엘니뇨, 수십 년 주기를 가진 기후 전반의 변동성을 약 100km 공간 해상도로 시뮬레이션했다.

100km의 공간 해상도로 시뮬레이션 했다는 것은 지구를 100km 격자로 나눠 각 격자에서의 기온, 바람 등을 포함한 기후 관련 변수를 계산하는 것을 뜻한다.

연구팀은 해양 상태, 대기 온도 등 초기 조건을 조금씩 바꿔가며 시뮬레이션을 100번 반복해 수행했다. 그 결과, 온실가스를 계속 배출하면 기후 변화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모든 측면에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1세기 말에는 전 지구 평균 온도가 2000년 대비 약 4도 올라고, 강수량은 6% 늘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열대 태평양 지역에서 일강수량 100mm 이상의 극한 강수 발생 빈도가 현재 대비 21세기 말에 10배 정도 늘고, 일강수량 800mm 이상의 극한 현상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됐다.

현재 기후에서 평균 반복 주기가 3.5년이던 엘니뇨현상은 21세기 말에는 2.5년으로 짧아지고, 전 지구적 기온과 강수에 변화를 준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의 발생 빈도가 늘고, 해양 생태계에서는 북대서양 플랑크톤 번식량이 줄어든다고 나타났다.

키스 로저스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위원은 “온실가스 배출로 호우·혹서 등과 같은 극한 기후의 강도와 빈도가 변화하고, 계절 주기까지도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12월 9일 오후 4시 국제학술지 ‘지구 시스템 역학(Earth System Dynamics)’에 실렸다.

강민구 (scienc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