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인플레 공포 언제까지..한국도 깊어지는 고물가 시름
우리나라를 비롯한 지구촌에 드리운 인플레이션 공포가 여전합니다.
유가와 곡물 가격이 강세를 지속하며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농축산물과 가공식품 가격이 뛰고 있습니다.
반도체 공급난으로 자동차와 스마트폰도 가격 인상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그린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등 여러 용어가 동원될 정도로 국내외에서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계속되면서 고물가 장기화에 대한 우려도 나옵니다.
'밥상 물가'와 직결되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 우려가 짙어지고 있습니다.
애그플레이션은 농업(agriculture)과 지속적인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곡물 등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전반적인 물가도 오르는 현상입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조사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2014~2016년 평균 100 기준)는 11월에 134.4포인트로 넉 달 연속 상승하며 10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지수는 1년 전보다 27.3% 뛰었습니다.
곡물(23.2%)과 설탕(37.9%), 유지류(51.4%)의 가격지수 상승 폭도 컸습니다.
올해 1~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4.9포인트로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이같은 가격 상승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식량 수출국의 선적 지연 등 공급망 불안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제 곡물 선물가격(전 분기 대비)은 올해 4분기 0.3%, 내년 1분기 2.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세계적인 밀 공급 부족,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필요한 옥수수 수요 증가 등에 따른 것입니다.
지난달 우리나라의 밀, 옥수수, 채유용 콩의 수입단가는 전달과 비슷하거나 최대 8.8% 떨어졌지만, 작년 같은 달보다 18~70% 높은 수준입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수입 곡물 가격이 10% 상승할 때 소비자물가를 0.39% 끌어올리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11월 소비자물가가 작년 동월보다 3.7% 오른 가운데 생활물가와 신선식품 물가는 각각 5.2%, 6.3% 뛰었습니다.
특히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 폭이 7.6%로 눈에 띄게 컸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국은행 전망치 2.3%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 1.8%, 한은의 물가 관리 목표치 2%를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
친환경을 상징하는 그린(green)과 인플레이션을 합한 그린플레이션도 지구촌 물가에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탄소중립과 같은 친환경 정책이 물가 상승을 유발해 '탄소중립의 역설'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습니다.
KDB미래전략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글로벌 경기 회복세로 야기된 수급 불균형으로 그린플레이션이 현실화했다"고 진단했습니다.
보고서를 보면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과 관련, 전기차 등의 제작에 쓰이는 친환경 원자재 수요 증가로 공급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올해 3분기 리튬(395.4%), 마그네슘(290.5%), 망간(102.6%) 등의 가격이 작년 동기보다 크게 올랐습니다.
중국의 탈탄소화 환경규제에 따른 전력 부족 사태로 현지 공장 가동률이 하락하며 글로벌 원자재 공급이 급감한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여기에 해상운송 등 물류 병목 현상까지 겹쳐 지구촌 물가를 자극했습니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미국 6.2%, 유럽연합(EU) 4.1%를 기록하는 등 각국이 물가 불안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31년 만의 최대 상승 폭입니다.
강명구 KDB미래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글로벌 장기 과제인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일부 그린플레이션 동반은 불가피하므로 각국은 이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도 그린플레이션의 영향권에 든 만큼 친환경 원자재 조달에 대한 과도한 중국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상황입니다.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의 세계적인 확산도 변수입니다.
확산세에 따라 생산공장 가동이 다시 멈추고 항만 운영 차질도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코로나19 사태로 공급망 혼란이 가중되면서 최근 1년 반 사이 컨테이너선 운임이 일부 항로에서 7배로 급등했다며 이런 운임 수준이 이어지면 2023년까지 전 세계 수입물가는 10.6%, 소비자물가는 1.5% 오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회복세를 보이는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경우 경기는 가라앉는데 물가는 뛰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최악의 경우 내년 1분기 세계 경제 성장률이 4.5%에서 2%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2월 경제동향'을 통해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으로 국내외에서 방역조치가 강화되고 금융시장도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는 등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인플레 상황과 경기 부진 체감도를 볼 때 스태그플레이션에 가깝다"며 "그렇지만 물가 때문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에서도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자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 속도를 내고 이르면 내년 봄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도 나왔습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3차 접종, 오미크론 무력화”…동시에 나온 WHO '경고'
- 노재승, 재난지원금에 “개밥”…국민의힘 꼬이는 인재영입
- “청소년 유튜브 영상에 성차별 표현 '수두룩'”
- 여성이 젖소로 변해…우유 광고서 '여성 비하' 논란
- 지하철 내 '노마스크' 행패…신고 19분 만에 출동
- “완전 요물이네” 추행 신고하자 “피해자가 왜 당당해”
- 샴푸로 감기만 하면 염색?…“과장광고” vs “신기술”
- 또 '신호 무시 우회전' 트럭에…횡단보도서 초등생 참변
- “PCR 검사로 안 잡히는 '스텔스 오미크론' 등장”
- 중국 실종 영화 실제 주인공 14년 만에 아들과 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