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미술관 무산되자 '지역특화형 문화시설'..가능성은?
[KBS 창원] [앵커]
창원시가 공들여 추진한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유치가 사실상 무산됐습니다.
창원시는 아직 끝난 게 아니라며 국립미술관 대신 지역특화형 문화시설로 미술관을 지어서 이를 또 국립으로 바꿔보겠다고 나섰는데요.
가능성이 있는지, 김소영 기자가 짚어 봤습니다.
[리포트]
창원시가 국립현대미술관 유치가 좌절되자 추진하고 있는 게 '지역특화형 문화시설'입니다.
지역특화형은 정부가 건립비의 70%, 5년 동안의 운영비만 지원합니다.
그러니까 남은 건립비 30%를 지자체가 부담해야 합니다.
여기에 더해 5년 뒤부터는 운영비 전액을 지자체가 떠안아야 하는데요.
2019년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분관을 기준으로 한해 79억 원의 운영비를 창원시가 부담해야 합니다.
창원시는 일단 지역특화형 문화시설이라는 명분으로 미술관 건립을 추진해, 타당성 조사부터 통과시킨 뒤 정부 투자 심사 과정에서 이를 국립으로 바꿔보겠다는 복안입니다.
과연 가능할까요?
가장 큰 문제는 경쟁 자치단체가 너무 많다는 겁니다.
광주광역시와 전남 진도군도 국비로 용역비를 확보해 '지역특화형 문화시설' 추진 중입니다.
대전과 대구광역시도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유치를 염두에 두고 각종 사업을 벌이고 있는데요.
창원시가 '지역 문화 격차 해소'라는 식상한 명분 대신, 정부를 움직일 수 있는 차별화된 유치 논리를 내지 못하면, 지역특화형 문화시설로 미술관을 짓더라도 국립미술관으로의 전환,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김소영 기자 (kantapia@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자율에 맡긴다더니 왜 방역패스?”…정부 “대면수업 유지, 사회적 가치 중요”
- 상태 안 좋아서 접종 못 하는데…‘요양병원 3차 접종 안 하면 검사비 청구’ 논란
- 선진국 된 한국, “소득 불평등 심각…부의 불평등은 더 심각”
- 재택치료비 4인 가구 기준 136만원 지원…가족격리 7일로 단축
- 등굣길 초등생 화물차 치여 숨져…화물차 우회전 사고 잇따라
- 개에 물려 치료비 청구했더니…“협박하고 이용하냐” 적반하장
- 맞은 자·못 맞은 자·안 맞는자…백신으로 나뉜 세상
- 직장·학교 때문에 수도권으로…“주거비 부담↑”
- 2m 넘는 파도에 접근 불가…2시간 사투 끝에 구조
- “신혼여행 가려 차 빌렸는데”…렌터카 중개업체 ‘먹튀’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