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12평에 나 혼자 산다.. 韓청년 슬픈 자화상

은진 2021. 12. 8. 19: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인가구 5년새 4%P 증가 31%
2030세대 비중 36%로 가장 많아
10명중 3명 연소득 3000만원 ↓

우리나라의 1인 가구가 5년 새 4%포인트 가량 늘면서 전체 가구의 31% 이상을 차지했다.

1인 가구 비중이 매년 늘며 국내에서 가장 흔한 가구 형태로 자리 잡은 것이다. 하지만 그 1인 가구 10명 중 8명은 연소득이 3000만원에 못 미쳤다. 절반 이상이 12평 정도의 주거환경에서 살고 있었다.

외로운 1인 가구는 아프기도 더 아팠다. 연간 지불하는 의료비는 전체 가구 대비 1.4배가량 높았다.

전통적인 가구 형태가 무너지면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복지제도는 가족단위를 중심으로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1인 가구의 특성을 반영한 복지 서비스 확대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1인 가구는 664만3000가구로 전체의 31.7%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인 가구 비중은 2016년 기준 27.9%에서 꾸준히 늘어나 2019년 30.2%로 30%대를 넘어선 이후 1년 만에 더 증가했다.

1인 가구는 20대 비중이 19.1%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16.8%)가 두 번째로 많았다. 부모와 같이 살다가 직장·학업 등의 이유로 독립한 젊은 층이 많기 때문이다. 50대와 60대는 각각 15.6%를 차지했고, 40대는 13.6%, 70대는 11.0%, 80세 이상은 7.1%로 가장 적었다. 통계청은 "1인 가구가 된 사유는 50~60대는 본인의 이혼, 70세 이상은 배우자의 사망이 가장 많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 사유로는 학업·직장이 24.4%였고, 배우자의 사망이 23.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사회 초년생 또는 고령층이 많이 분포해 있다 보니 소득은 낮은 수준이었다. 2019년 기준 1인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2162만원으로, 전체 가구(5924만원) 대비 3분의 1 수준(36.4%)에 불과했다. 1인 가구 77.4%는 연 소득이 3000만원 미만이었다. 1인 가구 소득분포를 보면, 연소득이 1000만~3000만원 미만인 경우가 46.6%로 가장 많고, 1000만원 미만이 30.8%였다. 3000만~5000만원 미만은 14.7%, 1억원 이상은 0.8%였다.

주거 형태도 열악했다. 1인 가구의 절반 이상인 50.5%가 원룸 형태인 40㎥(약 12평) 이하 면적 주택에 살고 있었다. 1인 가구가 원하는 주거 지원은 전세 자금 대출(32.4%), 월세 보조금(19.5%) 순서였다. 전체 가구는 주택 구입 자금 대출(34.6%)을 1순위로 희망했는데, 1인 가구는 전·월세 형태에 많이 분포해 있는 모습이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 가구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기준 전체 1인 가구 가운데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 가구는 15.2%였다. 1인 가구 중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는 2018년 13.2%, 2019년 14.3%로 비중이 빠르게 늘어났다. 전체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가운데 1인 가구의 비중도 2014년 이후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는 69.4%까지 불어났다. 지난 10년 사이 최고치다.

전문가들은 1인 가구가 주(主)주거 형태라는 점을 고려한 정책 설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우리나라 복지제도가 개인단위가 아닌 가족단위로 구성되어 있는데, 1인 가구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만큼 1인 가구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들이 더 많이 생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현행 주거지원은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일정 중위소득 이하에 지급하는 주거 급여가 있는데, 이것은 기초생활보장 대상자들에게만 굉장히 제한적으로만 나가는 것"이라며 "기초생활보장 대상에서 벗어난 차상위계층과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은진·강민성기자 jineun@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