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최대 비행동물 '케찰코아틀루스' 왜가리와 비슷

엄남석 2021. 12. 8. 18: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날개 길이가 12m에 달한 익룡 '케찰코아틀루스'(Quetzalcoatlus)는 지구의 하늘을 날았던 동물 중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971년 미국 텍사스주 빅 벤드(Big Bend) 국립공원에서 날개 일부만 발굴된 극히 제한된 화석을 토대로 추정한 것인데 영화나 만화 등에서는 거대한 날개로 하늘을 날며 먹잇감을 낚아채며 주변을 공포로 몰아넣는 무시무시한 익룡으로 묘사돼 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호수 거닐며 바닥의 게·조개 등 잡아먹고 도약 뒤 비상
지구 최대 비행 동물 '케찰코아틀루스'가 호수에서 먹이 활동하는 상상도 [James Kueth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날개 길이가 12m에 달한 익룡 '케찰코아틀루스'(Quetzalcoatlus)는 지구의 하늘을 날았던 동물 중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971년 미국 텍사스주 빅 벤드(Big Bend) 국립공원에서 날개 일부만 발굴된 극히 제한된 화석을 토대로 추정한 것인데 영화나 만화 등에서는 거대한 날개로 하늘을 날며 먹잇감을 낚아채며 주변을 공포로 몰아넣는 무시무시한 익룡으로 묘사돼 왔다.

하지만 이는 예술적 상상력이 결합된 것으로 과학적 분석에 근거한 것은 아니었다.

화석이 충분치 않아 실제로 하늘을 날았는지조차 불투명하고 첫 발굴 이후 이렇다할 추가 논문이 나온 적도 없었는데, 발굴 50주년을 맞아 학술지 '척추고생물학 저널'(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에 케찰코아틀루스 관련 연구를 집대성한 논문 6편이 한꺼번에 발표되며 지구 최대 비행동물의 생태가 더 많이 밝혀졌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에 따르면 연구진은 케찰코아틀루스로 확인된 화석은 물론 케찰코아틀루스로 추정되는 화석까지 모두 모아 면밀히 분석했다.

또 빅 벤드 국립공원에서 발굴된 다른 익룡 종의 화석도 함께 들여다봤다.

이를 통해 날개 길이가 5.4∼6m로 기존 케찰코아틀루스 종의 절반밖에 안 되는 Q. 라우소니(lawsoni)를 비롯해 새로운 케찰코아틀루스 두 종을 확인했다.

이를 발견한 영국 셰필드대학 박사후 연구원 브라이언 안드레스가 이끄는 연구팀은 50년 전 텍사스대학 지질학 석사과정 대학원생으로 Q. 노르트로피(northropi)를 처음 발굴한 더글러스 로슨의 이름을 따 학명을 붙였다.

Q. 노르트로피의 화석 조각은 10여 개에 불과했지만 Q. 라우소니는 수백에 달해 연구팀이 전체적인 뼈 구조를 거의 완전하게 구성하고 어떻게 날고 움직였는지를 분석하기에 충분했다고 한다.

연구팀의 Q. 라우소니 분석 결과는 덩치 큰 사촌인 Q. 노르트로피의 생태를 추론하는 토대가 됐다.

케찰코아틀루스의 생체역학 분석 연구팀을 이끈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 명예교수 케빈 파디안은 "(비행에 이용하는 근육인)비상근이 달라붙는 거대한 흉골을 가진 점으로 미뤄 훌륭한 비행체였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케찰코아틀루스의 도약 및 비상 과정 [Kevin Padian et al / John Conwa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날개가 길어 1∼1.2m에 불과한 다리로는 달려가면서 날아오르는 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했는데, 강력한 뒷다리를 이용해 2.4m 이상 도약한 뒤 날개를 펼쳐 비상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왜가리가 비상하는 방식과 같다.

텍사스공대 지구과학과 토머스 리만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케찰코아틀루스 두 종의 화석이 발견된 곳을 지질학적 맥락에서 분석해 서식 형태를 추론했다.

이들이 살던 약 7천만 년 전에는 빅 벤드 일대가 사막이 아닌 푸른 숲이었으며, Q. 노르트로피는 오늘날 왜가리처럼 강이나 하천에서 혼자 사냥하며 살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반면 Q. 라우소니는 한 화석 발굴지에서 30개체 이상이 나온 점으로 미뤄 호수 등에서 무리를 이뤄 서식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케찰코아틀루스는 스치듯 날며 사냥을 한 것으로 묘사돼온 것과 달리 이빨이 없는 긴 턱으로 강이나 호수 바닥을 훑어 게나 벌레, 조개 등 걸러서 먹었다는 새로운 분석을 내놓았다.

익룡 전문가인 영국 척추 고생물학자 대런 나이시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가 익룡 연구에 요긴한 것으로 미래 연구의 발판이 될 것이라면서 "케찰코아틀루스가 포함된 익룡과(科)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집대성돼 앞으로 수년에서 수십 년까지 이 분야 연구에서 표준 정보가 담긴 곳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Q. 노르트로피 골격 [John Conwa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omns@yna.co.kr

☞ '흙에 살리라' 가수 홍세민 씨 별세…"고향의 소중함 일깨워"
☞ 프로축구 경남 김영찬, 이경규 딸 이예림과 11일 웨딩마치
☞ '귀신의 집' 들어간 소년 심장마비 사망…동영상 보니
☞ 화상회의로 3분만에 해고된 미 회사원 "너무나 비현실적"
☞ '강아지 킬러' 손에 19마리 죽어…화단 파보니
☞ 배우 김홍표, 6세 연하 연인과 백년가약
☞ '프로포폴 루머 유포' 신현준 전 매니저 징역형 집유
☞ "가족이 반대한 결혼"…19세 임신부 살해한 남동생
☞ 16살 연하 남친 살해한 30대, 항소심서 혐의 인정
☞ 토트넘 선수단 다수 코로나19 양성…"손흥민도 포함"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