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이 만든 기술, 청년이 만드는 미래

2021. 12. 8. 18: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국무조정실(실장 구윤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 특허청(청장 김용래)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청년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술 활용 청년기술창업 경진대회'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공공기술 활용 청년기술창업 경진대회' 참여를 희망하는 (예비)창업자는 케이-창업기업(스타트업)(K-Startup) 누리집(www.k-startup.go.kr)에 게시된 통합 공고문을 확인해 참가자 모집기간에 맞추어 신청하면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국무조정실(실장 구윤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 특허청(청장 김용래)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청년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술 활용 청년기술창업 경진대회’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공공기술 활용 청년기술창업 경진대회’는 지난 8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청년특별대책의 후속 조치로, 제2벤처붐의 열기를 청년층까지 확산시키고 경쟁력 있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해 진행되며,

공공기술에 대한 청년의 관심도를 제고하고, 공공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시행된다.

이번 경진대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청년의 삶 개선과 미래 도약을 위해 지난 9월 신설·보강된 청년정책 전담조직을 총괄하고 있는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중기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특허청이 협업하여 개최하는 청년 대상 경진대회이다.

두 번째, 정부 예산이 투입된 공공 연구개발(R&D) 결과물을 청년의 기발한 아이디어와 결합한 우수 (예비)창업자를 발굴하는 경진대회이다.

경진대회 참가를 위해서는 ‘21년 12월 9일(목)부터 ’22년 1월 27일(목)까지 참가 신청을 하여야 하며, 참가 대상은 만 39세 이하 청년 중 예비창업자(팀) 또는 업력 3년 이내 창업기업 대표자이다.

경진대회는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DB)*가 보유하고 있는 공공 연구개발(R&D) 성과물을 청년 (예비)창업자에게 개방하고,

청년들은 공공기술 중 관심 기술을 찾아 설명자료, 기술보유자와의 상담 등을 통해 사업화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 테크브릿지(중기부), 미래기술마당·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과기정통부), 국가기술은행(산업부)

참가자가 제출한 사업계획서의 평가를 통해 40팀을 선정하고, 예선 발표평가를 거쳐 15팀을 선정 후, 전문가 상담(상담(멘토링))을 통해 사업계획을 보완·구체화하여 3월말 결선 기업설명회(IR) 발표평가를 통해 10팀을 시상한다.

< 경진대회 진행 절차 >
공고   서면평가   예선   상담(멘토링)   결선 및 시상   후속지원
참가자 모집
케이-창업기업(스타트업)
(K-Startup)

 
요건·서류
40팀
피칭 및 질의응답
15팀
전문가
상담(멘토링)

15팀
기업설명회(IR) 피칭평가
및 포상

10팀
창업사업 연계
12.9~’22.1.27 ’22년 2월 초 ’22년 2월 말 ’22년 3월 중 ’22년 3월 말 ’22년 3월 말~
 

청년들의 기술창업에 관한 관심 제고와 공공기술의 활용을 위해 이번 경진대회는 총상금 3억 4천만원 및 상장 수여와 함께 수상팀에 후속 연계지원이 이루어질 계획이다.

후속 연계 지원으로는 수상팀의 창업 사업화 성공을 위한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기술사업화·기술거래 컨설팅, 기술창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등을 연계 지원할 예정이다.

‘공공기술 활용 청년기술창업 경진대회’ 참여를 희망하는 (예비)창업자는 케이-창업기업(스타트업)(K-Startup) 누리집(www.k-startup.go.kr)에 게시된 통합 공고문을 확인해 참가자 모집기간에 맞추어 신청하면 된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청년정책과 이기택 사무관(☎044-204-795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공공기술 활용 청년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요
 

□ (사업목적) 대학·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공공기술을 활용한 창업경진대회를 통해 청년들의 기술창업 활성화

□ (개요)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DB)*를 제공하고 이를 사업화하려는 청년 창업자를 모집·선정하여 시상 및 후속지원

* 테크브릿지(중기부), 미래기술마당·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과기정통부), 국가기술은행(산업부)

참가자는 부처별 공공기술 성과 데이터베이스(DB)에 개방되어있는 공공 연구개발(R&D) 성과물 중 사업화 가능성이 있는 기술 탐색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DB) 내 관심 기술의 설명자료(특허정보, 기술상품화정보 등), 기술 보유자와의 상담 등을 통해 사업계획서를 작성·제출

□ (주최) 중기부·국조실·과기정통부·산업부·특허청 공동주최

□ (주관) 창업진흥원·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청년기업가정신재단·한국산업기술진흥원 공동주관

□ (지원대상) 만 39세 이하 예비창업자(팀) 및 3년 이내 초기 창업자(팀)

□ (지원내용) 상금(총 상금 3.4억원)·상장 수여 및 수상자(팀)을 대상 사업화 연계, 기술거래·사업화 지원 등 후속지원

□ (추진절차) ① 참가자 모집 → ② 서면평가 → ③ 예선 → ④ 전문가 상담(멘토링) → ⑤ 결선 탑텐(Top 10 선정 및 시상)

< 대회 일정 및 추진절차 >
공고   서면평가   예선   상담(멘토링)   결선 및 시상   후속지원
참가자 모집
(K-Startup)

 
요건·서류
40팀
피칭 및 질의응답
15팀
전문가
상담(멘토링)

15팀
IR 피칭평가
및 포상

10팀
창업사업 연계
12.9~’22.1.27 ’22년 2월 초 ’22년 2월 말 ’22년 3월 중 ’22년 3월 말 ’22년 3월 말~
* 일정 및 운영방식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