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만에 '삼천피' 회복..外人 계속 살까

차창희 2021. 12. 8. 17: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과매도 인식 확산되자
이달 2조1182억어치 순매수
6거래일간 상승세 탔지만
기술적 단기반등 그칠수도
16일 FOMC가 추가상승 변수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이 이달 들어 6% 오르며 '불반등'을 보이고 있다. 코스피가 긴축 장세 진행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확산 등 불확실성에도 외국인 투자자의 강력한 매수세에 힘입어 3000선을 회복했다. 코스피가 6거래일 연속 상승한 건 16개월 만이다. 다만 증권가에선 최근 코스피 상승세는 추세 전환이라기보다 기술적 되돌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오는 16일로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추가 상승 여부를 판가름할 이벤트로 거론된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10.08포인트(0.34%) 오른 3001.80에 마감했다. 코스피가 3000선을 넘은 건 지난달 24일 이후 10거래일 만이다. 지난달 30일 2822.73으로 바닥을 찍은 후 약 6.3% 상승했다. 코스피가 6거래일 연속 상승한 건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이다. 이날 코스닥도 0.94% 오른 1006.04에 마감하며 8거래일 만에 1000선을 회복했다. 이달 들어 코스피 반등을 견인한 건 외국인 투자자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8일까지 코스피에서 총 2조118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같은 시기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담은 주식은 삼성전자로 순매수 규모는 1조4258억원에 달했다. 반대로 3조1921억원어치를 순매도한 개인투자자들은 지수 하락에 베팅하는 '곱버스'로 불리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 상품을 가장 많이 담았다.

최근의 한국 증시 상승 랠리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의한 긴축 시계가 돌아가고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되는 와중에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코스피는 지난 6월 3300선으로 최고점을 찍은 후 하반기에 하락 추세로 돌아서며 2800선까지 떨어졌다. 신고가를 경신하는 미국 증시와는 다른 행보를 보이며 '탈동조화(디커플링)' 현상이 부각됐다. 이는 한국 증시가 예고된 대외 불확실성을 '선반영'한 것으로, 이로 인해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삼천피' 회복의 가장 큰 공신은 외국인 투자자 매수에 따른 수급 개선"이라며 "지난 10월 우리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201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31%까지 내려가는 등 과매도 국면에 대한 인식이 확산됐다"고 밝혔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오미크론, 자산 매입 축소(테이퍼링) 가속화 등 악재들이 기정사실화되면서 더 이상 증시가 충격을 받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이슈도 초기 불확실성으로 인한 단기 악재에 그치는 모습이다. 최근 오미크론이 전파력은 높지만 치명률은 낮을 것이란 의학 분석 결과가 알려지면서 시장은 안도감을 보인 바 있다. 특히 지난 6일 중국 인민은행이 은행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한 것도 신흥국 투자 심리 개선에 도움이 됐다. 한국은 여전히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선 이번 코스피 상승을 추세 전환의 시작이라기보다 기술적 반등으로 봐야 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16일 예정된 미국 FOMC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자리에서 최근 '인플레이션 싸움꾼'으로 변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테이퍼링 가속화 및 조기 금리 인상과 관련해 어떠한 메시지를 내놓느냐가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언제쯤 꺾일지도 관심사다. 사실상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기 전까지 연준의 긴축 기조가 누그러질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

[차창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