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견제 나선 日..주일 미군 주둔 비용 23년만 최대폭 늘린다

박성규 기자 2021. 12. 8. 17: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이 부담하는 주일 미군 주둔 비용이 현재보다 500억 엔(약 5,184억 원) 가까이 늘어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8일 요미우리신문은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2022∼2026회계연도 5년 동안 일본 측이 총 1조엔(약 10조3,714억 원)을 미군 주둔 비용으로 지불하는 방안에 대해 미국과 대략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000억 증가한 10조 이상으로 합의 할듯
육상자위대 탱크 탑승하는 기시다 일본 총리./AFP연합뉴스
[서울경제]

일본이 부담하는 주일 미군 주둔 비용이 현재보다 500억 엔(약 5,184억 원) 가까이 늘어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연간 기준으로 5% 늘어나는 것으로, 지난 1999년 이후 최대치다. 중국의 군사굴기에 위협을 느낀 일본이 미국과의 군사 동맹을 더욱 더 강화하는 모양새다.

8일 요미우리신문은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2022∼2026회계연도 5년 동안 일본 측이 총 1조엔(약 10조3,714억 원)을 미군 주둔 비용으로 지불하는 방안에 대해 미국과 대략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2016~2020년도에 지출한 금액과 비교하면 500억엔 정도로 늘어난 금액이다.

근래에는 부담금 증가율이 3% 이내에서 억제됐으나 이번에 일본의 제안대로 합의가 이뤄지면 5%를 넘기면서 1999년도(8.6%) 이후 23년 만에 최대가 된다.

일본 정부가 중국의 군사 활동 강화 등으로 어려움이 커지면서 주둔 비용 증액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실제 양국은 미군 기지의 광열수도비(전기·가스·수도 등 요금)를 줄이고 자위대와 미군의 공동 훈련 비용 항목을 신설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내년도 예산안에 부담금을 반영하기 위해 미국과의 연내 합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양측은 내달 초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미일 외교·국방장관(2+2)회의에서 부담금을 약정한 특별협정에 서명하고 이를 5년간 적용할 전망이다.

박성규 기자 exculpate2@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