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미래 먹거리 찾자"..대기업 올해 M&A 광폭행보

김연지 2021. 12. 8. 15: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500대 기업이 올해 29조원을 들여 126건의 인수·합병(M&A)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500대 기업은 최근 3년간 총 53조원 이상을 투입해 346개 기업에 대한 M&A를 단행했다.

특히 올해 인수금액은 28조8228억원으로, 연간 12조6099억원을 시현한 지난해 기록을 이미 앞섰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8274억원을 들여 10개 기업을 인수하며 카카오 뒤를 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3분기 기준 대기업 M&A, 지난해 규모 넘어서
진행된 인수건 126건..지난해 대비 31.3% 증가
코로나19에도 미래 성장동력 확보 차원서 광폭행보

[이데일리 김연지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이 올해 29조원을 들여 126건의 인수·합병(M&A)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연간 규모를 두 배 이상 뛰어넘은 수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도 미래 성장동력 확보 차원에서 M&A에 활발히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사진=이미지투데이)
8일 기업경영 전문연구소 CEO스코어는 올해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국내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500대 기업은 최근 3년간 총 53조원 이상을 투입해 346개 기업에 대한 M&A를 단행했다. 총 투입 금액은 53조6381억원이다.

특히 올해 인수금액은 28조8228억원으로, 연간 12조6099억원을 시현한 지난해 기록을 이미 앞섰다. 인수 건수도 대폭 늘었다. 올해 3분기까지 진행된 인수 건은 126건으로, 지난해(96건)보다 30건 늘었다. 여기에 1000억원 이상 규모의 딜은 29건으로, 8건을 기록한 지난해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이뤄진 인수 중 규모가 가장 큰 M&A는 SK하이닉스(000660)의 인텔 낸드사업부문 인수로 꼽힌다. 유일하게 10조 이상인 10조3104억원을 기록했다. 이베이코리아를 3조5591억원에 인수한 이마트(139480)와 스핀엑스를 2조원대에 인수한 넷마블(251270),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한 대한항공(003490),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한 현대자동차(005380) 등은 그 뒤를 이었다.

올해 가장 많은 M&A를 기록한 기업은 카카오(035720)로 집계됐다. 카카오는 올해 상반기부터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 세나테크놀로지를 비롯한 23개 기업을 인수했다. 여기에 카카오가 들인 자금은 1조1462억원 수준이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8274억원을 들여 10개 기업을 인수하며 카카오 뒤를 이었다. 이후로는 넷마블(6건)과 NHN(5건), CJ ENM(4건), KT(4건), SKT(4건) 등 순으로 이어졌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에 투입된 M&A 금액이 10조 326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서비스(5조9622억원)와 유통(5조3211억원), 운송(1조8000억원), 석유화학(1조4419억원) 등은 그 뒤를 이었다. M&A 건수 기준으로는 서비스(48건) 부문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건자재는 17건, 유통 10건, 석유화학 9건, 자동차·부품 8건 순으로 M&A가 이뤄졌다.

김연지 (ginsbur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