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2020년도 방송에 대한 평가결과 발표

2021. 12. 8. 15: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이하 방통위)는 12월 8일(수), 「2020년도 방송평가」 결과를 의결하고, 이를 공개하였다.

o 「2020년도 방송평가」는 방송법 제31조에 따라 154개 방송사업자 (366개 방송국)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방송평가위원회(위원장 김창룡 상임위원)의 심의를 거쳐 제54차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의결하였다.

- 평가대상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며, 지상파 티브이(이하 ‘TV’), 라디오,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이하 ‘DMB’),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이하 ‘SO’), 위성방송, 종합편성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이하 ‘PP’), 보도전문 PP, 홈쇼핑 PP 등 매체별 특성을 고려해 방송의 내용?편성?운영 영역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 방송평가는 매체별로 평가기준, 평가항목 등이 상이하며, 중앙지상파 TV는 700점, 지역지상파 TV·종합편성 PP는 600점, SO·위성 및 홈쇼핑?보도전문 PP는 500점, 라디오·DMB는 30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 방송매체 사업자별로 평가항목과 배점이 다르므로 동일 방송매체 간 비교는 가능하나, 다른 방송매체 간 비교는 적절치 않음*

* 각 항목별 증감 사항은 작년도 대비 방송사업자별로 항목별 개선정도를 나타낸 것임

□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한 재난방송의 급증, 코로나19 허위정보의 대규모 유통,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재택근무 확산으로 방송의 시청률 상승, 글로벌 OTT 가입자의 증가 등 미디어 분야에 많은 변화가 있는 한 해였다.

o 이에 따라, 방송사업자의 프로그램 제작, 편성 환경이 급변하는 등 경영 상황도 좋지 않았으며, 이러한 상황이 2020년도 방송평가 결과에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재난방송 편성실적 평가 항목의 경우, 전체 방송사업자의 재난방송 편성 실적이 크게 증가한 반면, 방송사업자의 콘텐츠 투자가 저조하여 콘텐츠 및 기술 투자 평가 항목이 전년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하락했다.

- 글로벌 OTT사업자와의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방송사업자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콘텐츠 투자가 필요한 부분이다.

□ 또한 공정성 강화를 위해 공정보도위원회를, 홈쇼핑의 경우 소비자 보호를 위해 허위과장방지위원회를 새롭게 설치 운영하는 등 자체심의를 강화한 사업자들이 증가하여 방송의 프로그램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한 점이 돋보인다.

- 한편, 전년에 재허가조건 위반으로 시정명령을 받거나, 오보, 편성규제 위반 등으로 감점을 받은 사업자들이 관계법령 준수를 통해 점수가 상승하여 실질적으로 방송내용 및 편성, 운영의 개선으로 이어지는 성과를 보였다.

□ 각 매체별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o 지상파 TV의 평가점수는 KBS1 608점, MBC 573점, SBS 543점, KBS2 522점으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MBC 577점, KBS1 563점, SBS 505점, KBS2 483점

- 전년 대비 KBS는 자체심의 강화, 시청자평가 프로그램 편성 강화, SBS는 방송심의 규정 위반 감소 등으로 점수가 상승하였으며, MBC는 시청자평가 프로그램 편성 등의 점수가 감소해 하락하였다.

o EBS의 평가점수는 594점을 받았으며, 전년 대비 재난방송, 자체심의 등의 점수가 증가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EBS 539점

※ EBS는 방송프로그램 질, 시청자평가 프로그램, 시청자위원회 운영, UHD 프로그램 편성 등의 항목이 평가에서 제외되며 평가 영역별 점수를 만점으로 환산하여 결과 산출

o 지역민방 TV의 평가점수는 케이엔엔 480점, 대전방송 474점, 강원방송 467점, 울산방송 466점, 대구방송 459점, 광주방송 451점, 전주방송 446점, 제주방송 431점, 청주방송 414점, 경인방송 409점으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대구방송 474점, 대전방송 466점, 강원방송 462점, 광주방송 451점, 울산방송 445점, 전주방송 431점, 케이엔엔 429점, 청주방송 425점, 경인방송 420점, 제주방송 414점

- 전년 대비 케이엔엔·대전·강원·울산·광주·전주·제주방송은 방송심의 규정 위반 감소로 점수가 증가해 상승하였으며, 대구·청주·경인방송은 재무건전성 등의 점수가 감소해 하락하였다.

o 지상파 라디오 AM과 FM의 평가점수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 AM 라디오: KBS1 240점, MBC 223점, SBS 211점, KBS2 194점

- FM 라디오 : SBS 226점, KBS1 210점, MBC 209.5점, KBS2 209점

※ (’19년도 평가점수)

· AM 라디오 : MBC 211점, KBS1 202점, SBS 190점, KBS2 153점

· FM 라디오 : SBS 190점, MBC 180점, KBS1 163점, KBS2 150점

- 전년 대비 AM 및 FM 라디오 모두 KBS와 MBC는 관계법령 위반 감소 등으로 상승하였으며, SBS는 재무건전성 등의 점수가 증가해 상승하였다.

o 지상파 DMB TV의 경우, 지상파 계열 DMB 사업자의 평가점수는 SBS 209점, MBC 199점, KBS 195점이며, 비(非)지상파 계열 DMB 사업자의 평가점수는 한국DMB 214점, YTNDMB 187점으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지상파 계열 : MBC 201점, KBS 173점, SBS 170점

·비지상파 계열 : 한국DMB 212점, YTN 188점

- 전년 대비 KBS와 SBS는 재무건전성, 한국DMB는 DMB 방송용 프로그램 편성 등의 점수가 증가해 상승하였으나, MBC는 DMB 방송용 프로그램 편성 감소, YTNDMB는 장애인/여성 고용 등의 점수가 감소해 하락하였다.

o 종합편성 PP의 평가점수는 JTBC 495점, 채널A 477점, TV조선 474점, MBN 446점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JTBC 494점, TV조선 486점, 채널A 484점, MBN 452점

- 전년 대비 JTBC는 재난방송 편성에서 점수가 증가해 상승하였으나, 나머지 사업자는 방송심의규정 위반 증가 등으로 점수가 감소해 하락하였다.

o 보도전문 PP 평가점수는 YTN 417점, 연합뉴스TV 399점으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YTN 422점, 연합뉴스TV 382점

- 전년 대비 연합뉴스TV는 자체심의 등의 점수가 증가해 상승 하였으나, YTN는 콘텐츠/기술투자 등의 점수가 감소해 하락하였다.

o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 평가점수(사업자별 평균)는 SK브로드밴드 380점, LG헬로비전 368점, 현대HCN 356점, CMB 350점, 딜라이브 336점으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LG헬로비전 379점, 현대HCN 364점, SK브로드밴드 363점, CMB 346점, 딜라이브 331점

- 전년 대비 SK브로드밴드는 인적자원투자, 딜라이브, CMB는 재난방송 편성 등의 점수가 증가해 상승하였으나, LG헬로비전, 현대HCN은 지역성 구현 등의 점수가 감소해 하락하였다.

o 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의 평가점수는 372점으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KT스카이라이프 348점

- 전년 대비 콘텐츠/기술투자 등의 점수가 증가해 상승하였다.

o 홈쇼핑 PP는 GS SHOP 441점, 홈앤쇼핑 423점, 현대홈쇼핑 419점, CJ오쇼핑 418점, 공영쇼핑 411점, 롯데홈쇼핑 409점, NS홈쇼핑 398점으로 나타났다.

※ (’19년도 평가점수) GS SHOP 447점, 현대홈쇼핑 434점, 롯데홈쇼핑 412점, 홈앤쇼핑 404점, 공영쇼핑 369점, NS홈쇼핑 368점, CJ오쇼핑 361점

- 전년 대비 CJ오쇼핑, NS홈쇼핑, 공영홈쇼핑은 자체심의 강화, 홈앤쇼핑은 한국소비자원 민원 감소 등으로 점수가 증가해 상승하였으나, GS SHOP, 현대홈쇼핑은 방송심의규정 위반 증가, 롯데홈쇼핑은 자체심의 등의 점수가 감소해 하락하였다.

□ 2020년도 방송평가 결과에 대한 세부내용은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에 게재되며, 방송법 제17조에 따라 방송사 재허가·재승인 심사에 일정비율 반영된다. 끝.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