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디지털 학습력을 높이려면/임철일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인식이 공존한다.
하나는 필요성과 가치의 인정을 전제로 한 최적의 활용에 대한 기대이고, 다른 하나는 게임 중독이나 유해 사이트 접속과 같은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우려다.
한 조사에 따르면 학부모 가운데 30% 정도가 코로나19 이후 개인별 디지털 기기를 학교에서 활용하는 일에 부정적이었다고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인식이 공존한다. 하나는 필요성과 가치의 인정을 전제로 한 최적의 활용에 대한 기대이고, 다른 하나는 게임 중독이나 유해 사이트 접속과 같은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우려다. 한 조사에 따르면 학부모 가운데 30% 정도가 코로나19 이후 개인별 디지털 기기를 학교에서 활용하는 일에 부정적이었다고 한다.
사실 학생들은 코로나19 이전에도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기반 온라인 학습을 해 왔다. ‘인강’이라 불리는 강의가 대표적인 예다. 학교 밖에서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반복적으로 배울 수 있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학교 안 형편은 그렇지 못했다. 교사만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고 학생들은 인쇄물 교과서와 자료집으로 공부했다. 우리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와 관련한 자율성, 역량, 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로 나타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터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학생별로 디지털 기기를 지니고 학교에서 공부하는 BYOD(Bring Your Own Device) 정책을 검토했지만 부정적 인식 탓에, 그리고 재정 우선순위에서 밀리며 크게 호응받지 못했다.
그러다 갑작스레 닥친 코로나19로 자연스럽게 모든 학생들이 PC,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으로 배우게 됐다. 줌과 같은 실시간 화상 강의 시스템으로 교사 및 친구들과 상호작용을 시작했다. 교사는 개별적이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보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수업에서도 기대되는 중요한 교육적 경험이며, 코로나19에 따른 새로운 교육은 전통적인 학교 교육 방식에 변혁의 촉매제가 될 수도 있다.
이제 학교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과 코딩 능력, 인공지능 활용 및 데이터 분석력은 특정 교과 안에서, 혹은 인쇄물 자료집만으로는 체득하기 어렵다. 언제, 어디서든지 휴대할 수 있는 노트북이나 태블릿PC를 학생 개인별로 지니고 학교 안과 밖에서 자연스럽게 배우고 활용하도록 역량을 길러 줘야 한다. 게임이나 유해사이트 접속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지만, 해결 방안도 꽤 나왔다. 균형 잡힌 디지털 역량을 갖추라면서 손 놓고 있을 것인가, 아니면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디지털 기기를 바르게 활용하도록 기회를 줘야 할 것인가.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힌두교 신에게 나를 바칩니다”…45년간 오른팔 들고 산 인도男
- “사과할게” 얼굴 발로 걷어차…17세 여학생, 혼자서 16개 혐의
- “20대 무고녀와 부모 고발” 40대 가장 또다시 국민청원
- 월마트 매장 녹슨 못 밟아 오른 발목 절단 여성에 “118억원 배상”
- “2주나 주말 겹치는데…” 크리스마스·신정 대체공휴일 빠진 이유
- “아는 사람이 더 무섭다더니”…음란물에 친구 얼굴 합성한 20대
- “봉투값 얼마 한다고” 무인점포에 음식쓰레기 투척한 男
- 세금 아끼겠다는 아이코 日공주, 고모 티아라 쓰고 성인식
- ‘코로나 검사’ 장애인 이송 중 성추행...30대 구급차 기사 실형
- 신생아 입에 테이프로 ‘공갈 젖꼭지’ 고정시킨 병원…부모 “괴로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