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부 '부동산' 때리며 차별화..'재건축 기준 완화' 검토
[앵커]
현 정부와 정책적 거리두기를 거듭해 온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오늘은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조목조목 꼬집었습니다.
집 사고픈 마음을 억누르기보다는 대규모로 공급하는 방법을 택하겠다고 했는데 민주당 내에서는 재건축 안전진단 조건을 완화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강나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재명 후보는 집값 상승에 가장 예민한 서울 무주택자 청년들과 만났습니다.
[이정민/무주택 청년 : "보증금을 대출받아서 이자를 내고 월세를 내고 이것만 있나, 관리비도 내야 되고, 공과금도 내야 되고, 이런 상황에서 청약도 가입을 했으니까 청약도 내야 되고..."]
청년들의 쓴소리에 이재명 후보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판했습니다.
'진보 정권'의 수요 억제 정책은 풍선효과만 낳았다고 임대차 3법과 대출 규제에 대한 청년들 불만에는 정부가 현실을 모르는 건 죄악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 "정책이 제대로 현장에 집행되는지 사후 피드백을 가져야 하는데, 그냥 던져주고 말았던 거죠. 현실을 모르는 거는 잘못이 아니고 죄악입니다."]
이 후보는 1인 주택, 공유주택 같은 다양한 공공주택을 공급하고, 민간의 공급도 늘리는 방향으로, 전환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 "층수나 용적률을 일부 완화해서 민간 공급을 늘리는 방식도 있겠고, 또 공공택지 공급을 지금보다는 과감하게 늘려서..."]
민주당에선 때맞춰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현 정부에서 금기시돼온 내용입니다.
이 후보의 부동산 진단은 조국 전 장관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을 쥐꼬리 같다고 비판한 데 이어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하려는 의도로 읽힙니다.
하지만 당내 반발도 있어, 청와대 출신 윤영찬 의원은 나는 더 잘하겠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소중한 성과들마저 깎아내린 것은 옳지 못하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룹니다.
촬영기자:최연송 김민준/영상편집:이윤진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마스크 쓰고도 1분 만에 감염? “밀폐된 공간 오래 체류시 전파”
- [단독] 홍남기 아들 입원, 병원장이 결정한 뒤 이름 변경”…침묵하는 홍 부총리
- 3시간 줄서기에 모두 녹초…“무료검사 적극 권장 방침 여전”
- 하청 노동자 압착 사망 한일시멘트, 과태료 4억·공장장 등 송치
- ‘공연한다’더니…예식장 빌려 ‘팬 미팅 송년회’ 논란
- 매매가 웃도는 전세가 속출…‘깡통전세’ 우려↑
- 학생들 야구용품 살 돈까지 ‘꿀꺽’…고교야구 감독 구속
- [글로벌 돋보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다고?
- 만30살, 감자로 빵 만들어 매출 100억 일구다
- 美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에 고민 깊어진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