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정상회의' 앞두고 전방위 對中압박.. 동맹국 동참 요구

박영준 2021. 12. 7. 18: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은 6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입장을 밝히며 '인권 문제'를 전면에 내걸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이 중국의 인권 문제에 우려를 표하는 데 충분한가'라는 질문을 받고 "(외교적 보이콧이) 신장에서의 인권 유린에 대해 우리가 제기할 우려의 끝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답하기도 했다.

민주당 소속 밥 메넨데스 상원 외교위원장은 가치를 공유하는 동맹과 파트너들이 미국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는 입장을 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2 갈등 악화일로
그동안 신장 인권유린 문제 계속 제기
美, 9∼10일 110國 참가 정상회의 개최
中·러 인사 대거 제재 대상에 오를 듯
美 "中의 정책, 동맹의 안보에 반해"
'사실상 중국 편에 서지 말라' 요구
英·加·濠 등 서방국들 보이콧 검토
IOC도 "미국의 판단 절대적 존중"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미국은 6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입장을 밝히며 ‘인권 문제’를 전면에 내걸었다. 인권이란 보편적 가치를 고리로 동맹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에 보이콧 동참을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장 9일과 10일 약 110개국이 참석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계기로 중국의 인권 문제를 파고들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지난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화상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일관되게 중국의 인권 문제에 강한 우려를 표시했다.

미국이 공개한 민주주의 정상회의 초청국 명단에 중국과 러시아는 빠졌고 대만과 우크라이나가 포함됐다. 민주주의 정상회의에서 부패와 인권침해 등을 자행한 외국 정부 당국자와 관련자들을 대거 제재하기로 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제재 대상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중국·러시아 인사들이 제재 대상에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이 중국의 인권 문제에 우려를 표하는 데 충분한가’라는 질문을 받고 “(외교적 보이콧이) 신장에서의 인권 유린에 대해 우리가 제기할 우려의 끝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답하기도 했다. 사키 대변인은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은 미국이 평상시와 다를 바 없이 행동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중국에 보내는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계기로 동맹국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의 동반 보이콧 가능성도 제기된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한 언론 인터뷰에서 올림픽 참가 문제를 놓고 동맹과 논의가 진행 중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민주당 소속 밥 메넨데스 상원 외교위원장은 가치를 공유하는 동맹과 파트너들이 미국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는 입장을 냈다.

일례로 1980년 지미 카터 당시 미국 대통령이 냉전 중이던 소련(현 러시아)의 모스크바 하계올림픽에 사절단은 물론 선수단까지 보내지 않기로 결정했을 때 60개국 이상이 동조했다. 현재 영국과 캐나다, 호주는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으로서는 난처한 상황이다.

다만 미국은 각 국가의 보이콧 결정은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외교적 보이콧에 다른 동맹국들도 미국에 동참시키려는 것이냐’는 질문에 “우리는 그들에게 우리의 결정을 알렸고 분명히 그들이 스스로 결정하도록 맡길 것”이라고 답했다. 당장 뉴질랜드가 외교적 보이콧 동참 입장을 밝히고 영국, 캐나다, 호주 등도 보이콧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중관계를 적절히 관리해야 하는 우리 정부의 부담은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마침 존 커비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한·중관계와 관련, “우리는 각국에 미국과 중국 가운데 선택을 하라고 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커비 대변인은 “중국은 중국의 관점에 더 맞는 정책과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각국을) 강압하고 겁을 주고 있다”며 “우리의 우려는 중국이 성취하려는 많은 것이 사실상 우리와 동맹의 국가안보 이익에 반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실상 ‘중국 편에 서지 말라’는 요구인 셈이다.

미국이 스포츠를 정치화하려 한다는 비판도 있으나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미국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IOC 대변인은 이날 AFP통신에 “정부 관계자와 외교관의 파견은 각국 정부의 순수한 정치적 판단”이라며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는 IOC는 이 같은 판단을 절대적으로 존중한다”고 말했다.

워싱턴=박영준 특파원 yj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