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희·경계현 JY 뉴삼성號 '투톱'..정현호 조타수 역할 강화

이준기 2021. 12. 7. 18: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뉴삼성' 호(號)가 '투톱' 대표이사 체제로 출항한다.

삼성전자가 7일 정기 사장단 인사를 통해 반도체(DS)·가전(CE)·IT모바일(IM) 3개 부문 체제를 DS·세트 2개 부문 체제로 슬림화한 후 각각 삼성전기 대표이사였던 경계현(58) 사장과 한종희(59) 신임 부회장에게 맡기면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뿔소' 한 부회장, 포부 큰 인물..세트 시너지 낸다
'반도체 도사' 경 사장, 실력으로 승부..화려한 부활
정현호, 부회장 승진..사업지원 TF '역할' 더 세질 듯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겸 SET(통합)부문장 겸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 겸 DS부문장, 정현호 삼성전자 사업지원TF장 부회장.(왼쪽부터)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데일리 이준기 최영지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뉴삼성’ 호(號)가 ‘투톱’ 대표이사 체제로 출항한다. 삼성전자가 7일 정기 사장단 인사를 통해 반도체(DS)·가전(CE)·IT모바일(IM) 3개 부문 체제를 DS·세트 2개 부문 체제로 슬림화한 후 각각 삼성전기 대표이사였던 경계현(58) 사장과 한종희(59) 신임 부회장에게 맡기면서다. 애초 ‘안정’에 무게를 둘 것이란 예상을 깬 파격 인사에 재계 안팎에선 지난달 방미(訪美) 당시 이 부회장이 느꼈던 “현장의 처절한 목소리와 시장의 냉혹한 현실을 직접 보고 와 마음이 무겁다”는 현실 인식이 고스란히 녹아들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꿔봐”라는 선친 고(故) 이건희 회장의 1993년 ‘프랑크푸르트 신경영 선언’에 버금가는 수준이라는 게 재계 및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TV 개발 전문가인 한 신임 부회장은 리더십과 역량 면에선 정평이 난 인물이다. 2017년 11월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맡아 TV사업을 15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시킨 게 이를 극명하게 방증한다. 어떤 난관도 극복해왔다는 의미에서 삼성 사람들은 그에게 코뿔소란 별명을 붙였다고 한다. 재계 핵심 관계자는 “포부가 큰 인물”이라고 했다. 삼성전자 측은 “전사 차원의 신사업·신기술 등 미래 먹거리 발굴을 통해 세트 사업의 새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IM 부문의 혁신을 접목, CE 부문을 더 스마트하게 끌고 가고자 기술적 통로를 마련하려는 것 같다. 일종의 시너지 효과를 노린 셈”이라고 했다.

‘반도체 도사’ ‘소통의 달인’ 등으로 불리는 경 사장은 기회를 실력으로 잡아낸 대표적인 인사 사례다. 삼성전자에서 플래시개발실장·솔루션개발실장 등을 지내며 반도체 개발을 주도해오다 2020년 삼성전기 대표이사로 자리를 옮겼다. 재계 관계자는 “당시엔 좌천 인사라는 해석이 지배적이었으나 그는 실력으로 모든 걸 증명해냈다”고 했다. 삼성 측은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려 역대 최대실적을 견인하는 경영역량을 인정받은 리더”라고 했다. 물론 경 사장 앞엔 삼성을 시스템반도체까지 정상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막중한 임무가 놓여 있다. 범진욱 서강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미·중 반도체 패권경쟁 국면에서 부문장들을 교체한 건 매우 공격적 인사”라며 “삼성전기 대표를 DS 부문장에 앉힌 건 (대만 TSMC가 강점을 보이는) 패키징 기술을 삼성전자에 이식하려는 의도로도 보인다”고 했다.

사실 이들 ‘투톱’보다 더 주목받는 인사는 정현호(61) 사업지원 TF장(사장)의 부회장 승진이다. 삼성전자·관계사 간 공통이슈 협의, 시너지·미래사업 발굴 등 핵심 역할을 부여받으며 사실상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사업지원 TF의 위상이 더 높아진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재계 일각에서 사업지원(삼성전자)·금융경쟁력제고(삼성생명)·EPC(설계·조달·시공) 경쟁력강화(삼성물산) 등 사업부문별로 쪼개진 3개 TF를 하나로 묶는 구상이 동력을 잃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이준기 (jek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