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미국이야말로 인디언 학살"..美 '베이징 올림픽 외교 보이콧'에 반발

베이징=김남희 특파원 2021. 12. 7. 18: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기로 하자, 중국이 7일 또 다시 반격 조치를 예고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바이든 정부는 중국이 신장에서 행하는 지속적 학살과 비인도적 범죄, 또 다른 인권 탄압을 고려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외교 또는 공식 대표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백악관 발표 후, 뉴질랜드 정부는 이미 10월에중국 측에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장관급 외교 대표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란 결정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 "중국 신장서 제노사이드와 비인도적 범죄" 언급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6일 정례 브리핑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미국이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기로 하자, 중국이 7일 또 다시 반격 조치를 예고했다. 그러나 미국에 어떤 상응 조치를 취할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앞서 6일(미국 시각) 조 바이든 미국 정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선수단은 참가하되, 정부 대표단은 가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불참)’을 선언했다. 바이든 정부는 ‘중국이 신장(新疆)에서 행하는 지속적 종족 학살(제노사이드)과 비인도적 범죄’를 언급하며, 정부 차원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여를 거부하는 이유가 중국의 인권 침해 문제 때문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미국 정치권은 중국 정부가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무슬림 소수 민족인 위구르족을 탄압하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중국 측 입장을 묻는 질문에 “미국 측에 강렬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했고, 이미 미국 측에 엄정 교섭을 제기했으며, 단호한 반격 조치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자오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도 “미국 측이 외교적 보이콧을 강행하면 중국 측은 반드시 단호한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반격 조치가 무엇인지, 미국에 어떤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인지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중국은 특히 미국이 인권을 문제 삼은 것에 반발했다. 자오 대변인은 “미국 측은 신장에 소위 ‘종족 멸절(제노사이드)’이 존재한다는 세기의 거짓말을 꾸며 냈다”며 “미국 역사에서 인디언 원주민에게 저지른 범죄 행위야말로 진정한 종족 멸절”이라고 응수했다. 또 미국 정부 관리들이 참석 초청도 받지 않았으면서 신장 인권 문제를 들먹이며 정치적 계략을 꾸미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 측은 스포츠 정치화를 중단하고,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훼손하는 언행을 중단하라”며 “그렇지 않으면 일련의 중요 영역과 국제 지역 문제에 있어 양국 대화 협력을 해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 /로이터 연합

바이든 정부는 6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가 여부와 관련,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바이든 정부는 중국이 신장에서 행하는 지속적 학살과 비인도적 범죄, 또 다른 인권 탄압을 고려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외교 또는 공식 대표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사키 대변인은 “중국이 신장에서 벌이는 지독한 인권 탄압과 잔혹 행위”를 언급하며, “중국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선전전에 동참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 “바이든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말했듯, 인권 지지는 미국인의 DNA에 있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시 주석과의 화상 정상회담에서 신장 지역 인권 탄압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바이든 정부의 외교적 보이콧 선언은 중국에 실질적 타격을 준다기보다는 상징적 의미가 크다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은 입국자에게 3주간 의무 격리 정책을 시행 중이기 때문에, 각국이 대규모 대표단을 파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사키 대변인은 “외교단을 보내지 않는 것만으로도 인권 탄압을 묵과하지 않는다는 우리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미국 동맹이나 파트너 국가들이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 결정에 얼마나 동참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백악관 발표 후, 뉴질랜드 정부는 이미 10월에중국 측에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장관급 외교 대표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란 결정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코로나 대유행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그랜트 로버트슨 뉴질랜드 부총리는 미국 결정이 뉴질랜드의 불참 결정에 영향을 준 건 아니라면서도, “과거 수차례 중국 측에 인권 문제 우려를 표했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