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한미일 공통 도전 직면..ESG로 기후위기·공급망 문제 풀어야"

노정연 기자 2021. 12. 7. 16: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인 최태원 SK회장이 6일 미국 워싱턴D.C. 인근에서 열린 ‘2021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SK그룹 제공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글로벌 공급망 문제와 환경문제 등 전 지구적 문제 해결을 위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기반으로 민간 부문과 공공 부문이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제1회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rans-Pacific Dialogue·TPD)’에 참석해 “동북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지정학적 환경이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해지며 한·미·일 3국은 공통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TPD는 최종현학술원이 한·미·일 고위 관료와 학자, 재계 인사들과 함께 태평양과 동북아의 주요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한 행사다. 최종현학술원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 최 회장이 수년간 구상해 이번에 처음 선보였다.

최 회장은 이날 환영만찬에서 “미·중 간 전략적 경쟁과 인도·태평양 주변국의 총체적 마찰, 북한의 비핵화 문제, 글로벌 공급망 붕괴 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이라고 설명하며 집단참여 커뮤니티 활용, 효과적·장기적 전략 수립, 동북아가 직면한 지정학적 현실·위험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이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마련 등을 3가지 해법으로 제시했다.

최 회장은 기후 위기 등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SK그룹의 노력과 향후 계획도 소개했다.

최 회장은 “SK는 2030년 전세계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1%에 해당하는 약 2억t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미국에서 향후 4년간 400억달러(약 47조원)를 투자해 미국 내 탄소저감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SK회장이 6일 미국 워싱턴D.C. 인근에서 열린 ‘2021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에서 존 오소프 조지아주 상원의원에게 책을 선물받으며 환담을 나누고 있다. SK그룹 제공

이날부터 8일까지 열리는 TPD에는 미국의 정관계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다. 첫날에는 존 오소프 조지아주 상원의원, 척 헤이글 전 국방부 장관 등이, 둘째날에는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 빌 해거티 테네시주 상원의원 등이 TPD를 찾는다.

SK그룹 관계자는 “앞으로도 최태원 회장과 SK그룹은 이번 TPD처럼 베이징포럼, 상하이포럼, 도쿄포럼 등 범태평양 국가에서 운영해 왔던 민간외교의 플랫폼을 활용해 민간 경제외교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노정연 기자 dana_f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