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매출 3,000억 원 이상 기업, 정보보호 공시 의무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보보호 최고책임자'를 지정한 상장 법인 가운데 전년도 사업 매출액이 3,000억 원 이상인 기업은 앞으로 정보보호 공시를 의무적으로 내야 합니다.
정보보호 공시 의무화 대상에는 '정보보호 최고책임자'를 지정한 상장법인 가운데 직전 사업연도의 매출액이 3,000억 원 이상인 기업과 전년도의 마지막 3개월 간 하루 평균 서비스 이용자 수가 100만 명 이상인 기업이 포함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보보호 최고책임자'를 지정한 상장 법인 가운데 전년도 사업 매출액이 3,000억 원 이상인 기업은 앞으로 정보보호 공시를 의무적으로 내야 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보보호 산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해 오는 9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습니다.
정보보호 공시 의무화 대상에는 '정보보호 최고책임자'를 지정한 상장법인 가운데 직전 사업연도의 매출액이 3,000억 원 이상인 기업과 전년도의 마지막 3개월 간 하루 평균 서비스 이용자 수가 100만 명 이상인 기업이 포함됩니다.
정보보호 공시 대상 기업은 매년 6월 30일까지 현황을 전자공시시스템에 입력해야 하며, 과기정통부는 이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올해 안에 개정할 방침입니다.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단독] “홍남기 아들 입원, 병원장이 결정한 뒤 이름 변경”…침묵하는 홍 부총리
- 나트륨 10%·당 25%만 낮춰도 맛과 건강 모두 챙긴다
- 美 베이징올림픽 보이콧…靑 “종전선언과 관계 없다”
- 뉴욕은 5살부터…청소년 방역패스, 다른 나라는 몇살부터 적용하나
- [특파원 리포트] 중국 겨냥 ‘3연타’…중국 vs 서방 ‘격랑 속으로’
- [글로벌 돋보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다고?
- 만30살, 감자로 빵 만들어 매출 100억 일구다
- 북한 인명록 발간…통일부 “북, 노동당 위상 강화”
- [친절한 경제] 반도체 공급난에 스마트폰·차 값 오르나?
- 호국·독립·민주 영웅, 한라산에서 함께 영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