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법' 가이드라인 마련.."서비스 안정적 제공 수단 확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른바 '넷플릭스법'으로 불리는 개정 전기통신사업법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시행 1년째를 맞는 개정 전기통신사업법은 넷플릭스를 비롯해 구글·메타·네이버·카카오·웨이브 모두 6개 사업자에 적용되는데, 이들 대형 부가통신사업자가 이용자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필요한 업무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른바 ‘넷플릭스법’으로 불리는 개정 전기통신사업법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시행 1년째를 맞는 개정 전기통신사업법은 넷플릭스를 비롯해 구글·메타·네이버·카카오·웨이브 모두 6개 사업자에 적용되는데, 이들 대형 부가통신사업자가 이용자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필요한 업무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가이드라인은 구체적으로 서비스 기업이 사전에 오류 검증을 강화하고, 콘텐츠 저장소를 이중화하는 한편 인터넷 회선의 용량을 확보하도록 권고했습니다. 또 장애가 발생할 경우 기업이 해당 내용을 서비스 첫 화면 또는 운영 중인 소셜 미디어 계정에 안내하고, 상담을 위한 연락처 등을 한국어로 기재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았습니다.
과기정통부는 “가이드라인은 법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며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확보하고 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행해야 하는 절차 등을 핵심 내용으로 담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나트륨 10%·당 25%만 낮춰도 맛과 건강 모두 챙긴다
- 뉴욕은 5살부터…청소년 방역패스, 다른 나라는 몇살부터 적용하나
- [친절한 경제] 반도체 공급난에 스마트폰·차 값 오르나?
- 日 여야 의원 모임 2년 2개월 만에 야스쿠니신사 집단 참배
- 백신 안 맞으려고…이탈리아 남성 ‘실리콘 팔’로 가짜 접종 시도
- [글로벌 돋보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다고?
- 만30살, 감자로 빵 만들어 매출 100억 일구다
- 美, 인도의 러시아판 ‘사드’ 도입에 제재 못하는 이유는?
- 병상 없어 요양원 집단감염 방치…“어르신들 살려주세요”
- [제보] 교수 차 과태료 납부도 대학원생 몫?…“13명 중 10명 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