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부가통신사업자 서비스 안정성 확보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 제도의 실효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가이드라인를 마련했다고 7일 밝혔다.
과기부는 제도의 실효성을 더욱 제고하기 위해 대상사업자 뿐만 아니라 모든 부가통신사업자가 참고·조치할 수 있도록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사례 바탕으로 구체적 예시·절차 등 쉽게 참고하도록 안내"
[서울=뉴시스] 이진영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 제도의 실효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가이드라인를 마련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통해 대형 부가통신사업자가 이용자에게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의무화됐다. 개정안 적용 대상은 올해 기준 네이버, 카카오, 구글,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메타플랫폼(전 페이스북), 콘텐츠웨이브 등 6곳이다.
과기부는 법 개정 이후 총 15건의 장애 발생 사례들이 법령에 따른 의무 대상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조치에 따라 안정적으로 개선되는 등 시행 1년 사이에 제도가 안착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과기부는 제도의 실효성을 더욱 제고하기 위해 대상사업자 뿐만 아니라 모든 부가통신사업자가 참고·조치할 수 있도록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이 가이드라인에는 발생한 장애 사례를 바탕으로 대형 부가통신사업자들이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실제로 취하고 있는 조치들을 쉽게 참고할 수 있도록 예시와 절차 위주로 구성돼 있다.
과기부 정창림 통신정책관은 "작년 부가통신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 이후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바탕으로 크고 작은 장애들이 잘 조치될 수 있었다"며 "이번에 제정한 가이드라인이 부가통신사업자와 기간통신사업자가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안내서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int@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새론 유족, 집 데이트 영상 공개…"김수현 얼굴 영상도 있다"
- '버닝썬' 승리, 中 나이트클럽서 포착 "살 찌고 얼굴빛 좋아"
- '뇌신경마비' 김윤아, 안타까운 근황…후유증으로 병원行
- 이숙영 "의사 아빠, 30세 연하 유부녀 캐디와 바람…'네 엄마는 헌 여자' 독설"
- '휠체어 신세' 정준호 "한 달 정도 고생"
- '하이킥 소녀' 서신애, 어느덧 27세…"더 예뻐졌네"
- 임창정 '10억 먹튀' 의혹 부인에 공연기획사 "법적대응"
- 정동원 "한강뷰 57평 자가서 혼자 살아, 임영웅이 이웃사촌"
- "쓰레기통으로"…'김수현 입간판' 갖다 버린 해외 팬(영상)
- 김준호 子 은우, 유치원 입학…파마머리 완벽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