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군기술협력으로 국방과 산업 경쟁력 강화 동시 달성

2021. 12. 7. 11: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산업통상자원부는 12월 7일(화) 민군기술협력사업을 통해 첨단기술 성과물들을 창출해 온 LIG넥스원에서 제1회 민군기술협력 분과위원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민군기술협력 분과위원회는 지난 10월 7일 국방과학기술의 도약적 발전을 위해 신설된 범부처 국방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국방부장관)를 지원하는 3개 분과위원회 중 하나로써,   ㅇ 박진규 산업부 1차관과 나경환 R&D 전략기획단장을 공동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실장급과 산·학·연의 민간전문가가 참여, 위성·발사체 등 민군협력으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과제를 적극 발굴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군기술협력으로 국방과 산업 경쟁력 강화 동시 달성
 
 
 
- 제1회 민군기술협력 분과위원회(국방과학기술위원회 산하) 개최 -
- 민군기술협력 우수기업, 「LIG넥스원」 현장방문 -
 
□ 산업통상자원부는 12월 7일(화) 민군기술협력사업을 통해 첨단기술 성과물들을 창출해 온 LIG넥스원에서 제1회 「민군기술협력 분과위원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제1회 민군기술협력 분과위원회 및 LIG넥스원 현장방문 개요>
 
ㅇ (민군기술협력 분과위원회) ‘21.12.7일(화) 13:00~14:25, LIG넥스원 판교하우스
- (공동의장)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R&D전략기획단 단장
- (정부위원)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장,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 기재부 예산실장, 방사청 차장, 해수부 해양정책실장,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 (민간전문가) 최형기 기계산업진흥회 부회장, 이창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안효근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장, 홍석윤 서울대 교수, 이상엽 KAIST 교수, 김재수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이대성 항공안전기술원 원장
 
* 해수부·국토부 정부위원 및 민간전문가는 ‘22년초 국방과학기술위원회 상정을 통해 정식 위원화
 
ㅇ (LIG넥스원 현장방문) 21.12.7일(화) 14:25~14:50, LIG넥스원 홍보관
- LIG넥스원 민군기술협력사업 추진 애로사항 청취 및 전시물 관람
 
 
□「민군기술협력 분과위원회」는 지난 10월 7일 국방과학기술의 도약적 발전을 위해 신설된 범부처 국방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국방부장관)를 지원하는 3개 분과위원회 중 하나로써,
 
ㅇ 박진규 산업부 1차관과 나경환 R&D 전략기획단장을 공동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실장급과 산·학·연의 민간전문가가 참여, 위성·발사체 등 민군협력으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과제를 적극 발굴 예정이다.
 
□ 오늘 제1회 회의에서는 △민군 상호기술이전 활성화를 통한 기술협력 체계 강화방안, △(민→군 제안) 자율주행 및 로봇기술 민군겸용 협력방안, △(군→민 제안) 국방분야 센싱기반 예지정비 기술개발 등이 폭넓게 논의되었다.
 
ㅇ 민군기술협력사업 전담기구인 민군협력진흥원은 국방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민군기술협력사업의 역할 제고를 위하여, 민군 상호기술이전 활성화 체계를 강화키로 하였다.
 
- 위성, 발사체 등 기술융합형 첨단기술 분야 민군기술협력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고 민간 우수 R&D의 국방실증 전주기체계를 제도화하며, 국방기술 공개범위 확대 및 공동활용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 <v:stroke joinstyle="miter"> <v:formulas>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v:formulas> <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v:path></v:stroke></v:shapetype><v:shape id="_x374139192" style="width: 411.68pt; height: 188.91pt; v-text-anchor: top"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EMB0000403810ea" src="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Hnc\BinData\EMB0000403810ea.bmp"><w:wrap type="topAndBottom"></w:wrap></v:imagedata></v:shape>
 
[위성/발사체 민군기술협력 개념도]
 
ㅇ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은 다양한 제조 산업기술 중 육·해·공의 무기 및 비무기 체계에 접목 가능한 “자율주행” 및 “로봇”분야 혁신기술을 제안했다.
 
- 금번 회의에서는 험지나 기상 악조건 속에서도 안정적이고 빠른 자율주행이 가능한 “초고난도 자율주행 인지센서 기술”과 시스템 이상 대비 및 고위험 상황 극복을 위한 “자율주행 다중 안전설계 기술”,
 
- 또한 위험작업 보조 및 대체에 활용할 수 있는 로봇 팔 말단에 부착되는 ”그리퍼 및 로봇손의 조작 기술”과 “원격제어기반 양팔 로봇 기술”을 소개하였다.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 <v:stroke joinstyle="miter"> <v:formulas>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v:formulas> <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v:path></v:stroke></v:shapetype><v:shape id="_x374138400" style="width: 181.81pt; height: 120.65pt; v-text-anchor: top"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EMB0000403810eb" src="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Hnc\BinData\EMB0000403810eb.jpg"><w:wrap type="topAndBottom"></w:wrap></v:imagedata></v:shape>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 <v:stroke joinstyle="miter"> <v:formulas>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v:formulas> <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v:path></v:stroke></v:shapetype><v:shape id="_x374136960" style="width: 262.64pt; height: 115.07pt; v-text-anchor: top"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EMB0000403810ec" src="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Hnc\BinData\EMB0000403810ec.bmp"><w:wrap type="topAndBottom"></w:wrap></v:imagedata></v:shape>
 
[자율주행 험지 수송, 로봇손을 활용한 위험작업 대체 예시]
 
ㅇ 국방부는 국방 군수분야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센싱 기반 예지정비 및 스마트 정비기술 융합 플랫폼 구축 방향을 소개하고,
 
- 센싱기술, 네트워크 구성, 테이터 관리·분석 기술 등 민간의 우수한 기술들이 결집되어 국방의 첨단화, 과학화가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의 공동기획 및 기술개발사업 참여 등의 협력을 요청했다.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 <v:stroke joinstyle="miter"> <v:formulas>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v:formulas> <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v:path></v:stroke></v:shapetype><v:shape id="_x380362384" style="width: 452pt; height: 270.47pt; v-text-anchor: top"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EMB0000403810ed" src="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Hnc\BinData\EMB0000403810ed.bmp" croptop="14517f" cropright="35066f" cropleft="4405f" cropbottom="2584f"><w:wrap type="topAndBottom"></w:wrap></v:imagedata></v:shape>
[국방 군수분야 디지털 전환 추진(안)]
 
□ LIG넥스원은 그간 민군기술협력사업을 통해 연안 감시정찰 무인수상정, 직충돌형 소형 드론 시스템 개발, 유도무기 배꼽케이블 무선화 기술개발 등을 추진해 왔고, 방사청의 신속시범획득사업 등을 통해 군 적용을 타진 중이다.
 
연안경계 및 신속대응 무인경비정
해검-3 (실용화연계)
직충돌형 소형 드론 시스템 개발(Spin-on)
유도무기 배꼽케이블 무선화 기술
(Spin-on)
24시간 연안경계 및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한 무인경비정 설계/제작 및 시범운용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 <v:stroke joinstyle="miter"> <v:formulas>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v:formulas> <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v:path></v:stroke></v:shapetype><v:shape id="_x380444904" style="width: 132.86pt; height: 95.34pt; v-text-anchor: top"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EMB0000403810ee" src="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Hnc\BinData\EMB0000403810ee.jpg" croptop="42519f" cropright="23867f" cropleft="22276f" cropbottom="45824f"></v:imagedata></v:shape>
 
직충돌형 소형 드론의 HW, SW 설계 및 검증기술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 <v:stroke joinstyle="miter"> <v:formulas>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v:formulas> <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v:path></v:stroke></v:shapetype><v:shape id="_x380445264" style="width: 128.6pt; height: 80.43pt; v-text-anchor: top"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EMB0000403810ef" src="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Hnc\BinData\EMB0000403810ef.bmp"><w:wrap type="topAndBottom"></w:wrap></v:imagedata></v:shape>
* 적용체계 : 소형 정찰/타격 복합형 드론
발사체계와 유도탄 간 신호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배꼽케이블을 유선에서 무선으로 대체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 <v:stroke joinstyle="miter"> <v:formulas>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v:formulas> <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v:path></v:stroke></v:shapetype><v:shape id="_x380446056" style="width: 115.13pt; height: 93.9pt; v-text-anchor: top"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EMB0000403810f0" src="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Hnc\BinData\EMB0000403810f0.bmp" croptop="39761f" cropright="58854f" cropleft="35627f" cropbottom="51159f"><w:wrap type="topAndBottom"></w:wrap></v:imagedata></v:shape>
 
개발기간 : 19.6~21.6
출연예산 : 53억
개발기간 : 18.10~20.8
출연예산 : 13억/매출 : 43.8억
개발기간 : 19.12~22.2
출연예산 : 15.0억
 
□ 산업부는 민군기술협력분과위 운영을 통해 첨단기술분야의 혁신기업과 군·학·연 전문가를 결집하여 민군협력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대형과제들을 발굴·추진할 예정임을 밝혔다.
 
ㅇ 나경환 민간위원장은 “우리나라의 다양한 제조업 특성상 산업기술은 육·해·공의 무기 및 전력지원체계에서 필요한 기술과 유사성이 높다”며, “제조산업 혁신기술이 민군기술협력사업을 통해 국방분야 혁신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ㅇ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미래전장을 대비하고 G2간의 기술패권 경쟁에 따른 기술블록화에서 소외되지 않기 위해서는 민군기술협력을 통한 미래핵심 기술확보 및 발 빠른 상용화가 중요하다”며, “분과위를 통해 민군기술협력의 선순환 체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