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건너 아파트인데 3억 차이"..올해 청약통장이 꽂힌 곳

오세성 2021. 12. 7. 10: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분양 시장에서 '국민평형(전용면적 84㎡)'과 '브랜드' 아파트가 인기를 끈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1월 전국 신규 분양단지의 주택형별 1순위 경쟁률에서 전용 84㎡는 6만610가구 모집에 112만7044건이 접수되며 평균 경쟁률 18.59대 1을 기록했다.

1·2인 가구가 증가하며 소형 주택이 인기를 얻고 있지만,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전용 84㎡ 선호도를 이길 정도는 아니었던 셈이다.

국내 분양 시장에서 전용 84㎡의 인기는 굳건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면적은 전용 59㎡보다 84㎡가 인기
브랜드 아파트, 옆 단지보다 2억원 비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이번에 청약 넣으려는데 조금 무리해도 전용 84㎡가 나을까요 아니면 무난한 전용 59㎡가 나을까요", "가능하면 전용 59㎡보단 전용 84㎡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이번에 나온 곳은 브랜드가 좀 아쉽더라구요"….(부동산 카페 청약 고민글에 달린 답변)

올해 분양 시장에서 '국민평형(전용면적 84㎡)'과 '브랜드' 아파트가 인기를 끈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제도가 강화되면서 무주택자들은 사실상 청약기회가 한 번 밖에 쓸 수 없는 카드가 됐다. 때문에 향후 높은 가치를 기대할 수 있는 '똘똘한 한 채'로 여겨지는 '중형 브랜드'에 청약통장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1월 전국 신규 분양단지의 주택형별 1순위 경쟁률에서 전용 84㎡는 6만610가구 모집에 112만7044건이 접수되며 평균 경쟁률 18.59대 1을 기록했다.

이에 비해 전용 59㎡는 2만1290가구 모집에 19만3231건이 접수돼 평균 경쟁률이 9.07대 1로 나타났다. 전용 84㎡가 청약 경쟁률은 약 2배 가량 높고 청약자 숫자도 5배나 더 많았다. 1·2인 가구가 증가하며 소형 주택이 인기를 얻고 있지만,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전용 84㎡ 선호도를 이길 정도는 아니었던 셈이다.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매매 안내문이 붙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분양 시장에서 전용 84㎡의 인기는 굳건하다. 2018년에는 6만9181가구 모집에 100만4392명이 청약해 평균 14.52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2019년에는 8만2491가구 모집에 124만8615명이 몰려 15.13대 1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6만6469가구 모집에 217만5607명이 뛰어들며 평균 경쟁률이 32.73대 1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에 비해 전용 59㎡ 경쟁률은 다소 낮게 유지됐다. 2019년 2만3213가구 모집에 25만3279명이 청약해 10.91대 1을 기록했고, 지난해에도 3만3050가구 모집에 43만4243명이 참여해 13.14대 1에 그친 바 있다. 평균 청약 당첨선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전용 59㎡ 평균 청약가점은 32.15점, 전용 84㎡ 평균 청약가점은 38점으로 집계돼 전용 84㎡의 평균 가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전용 84㎡라면 브랜드가 중요해진다. 올해 1~10월 전국에 공급된 신규 분양단지 322개 가운데 10대 건설사(2021년 시공능력평가 기준, 컨소시엄 포함) 브랜드 단지는 총 85곳으로 1순위 평균 27.9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그 외 237개 단지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5.28대 1에 그쳤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사진=뉴스1

개별 단지를 살펴보면, 지난 9월 경기도 수원시에 분양한 ‘힐스테이트 광교중앙역 퍼스트’는 228.7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같은 기간 수원에서 분양한 5개 단지 중 경쟁이 가장 치열했다. 8월 경기 평택시에 분양한 ‘평택지제역자이’의 1순위 평균 경쟁률도 30.5대 1로 같은 기간 평택에 분양한 3곳 중 가장 높았다.

브랜드 아파트의 인기는 가격에서도 나타난다. 브랜드 아파트가 비슷한 시기 길이나 공원 건너 분양한 주변 단지보다 1억~2억원 비싼 경우가 적지 않다. 일례로 서울 강서구 마곡동의 마곡엠벨리 14단지 전용 84㎡는 지난 7월 14억6500만원(13층)에 거래됐다. 공원 건너편에 위치한 마곡13단지힐스테이트마스터의 같은 평형은 지난 8월 16억8000만원(7층)에 거래됐다. 공원을 사이에 두고 가격이 2억원 이상 벌어진 셈이다.

이런 사례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마포구 창천동 래미안밤섬리베뉴2 전용 84㎡도 11월 17억5000만원(9층)에 거래됐는데, 길 건너 서강쌍용예가는 같은 평형이 9월 15억6000만원(10층)에 팔려 약 2억원의 차이를 보였다.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휘경SK뷰는 지난 9월 전용 84㎡가 13억5000만원(8층)에 거래됐는데, 도보 5분 거리 브라운스톤휘경은 같은 평형이 지난 9월 10억1000만원(11층)에 팔렸다. 약 250m 거리를 두고 거래가 차이가 3억4000만원까지 벌어졌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