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전임상 동물모델서 완전 관해"

김태일 2021. 12. 7. 09: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테카바이오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STB-C017'의 동물실험 결과가 면역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온코이뮤놀로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7일 밝혔다.

게재된 논문은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암센터장과 김찬 교수 연구팀은 '딥러닝 모델을 통한 키뉴레닌 경로를 조절하는 새로운 면역치료제 발굴'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신테카바이오 제공
[파이낸셜뉴스] 신테카바이오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STB-C017’의 동물실험 결과가 면역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온코이뮤놀로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7일 밝혔다.

‘STB-C017는 면역관문억제제 2종과 병용 투여 시 완전 관해를 유도하고, 장기 생존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게재된 논문은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암센터장과 김찬 교수 연구팀은 ‘딥러닝 모델을 통한 키뉴레닌 경로를 조절하는 새로운 면역치료제 발굴’이다.

이 논문은 신테카바이오가 AI 신약개발 플랫폼 ‘딥매처’를 통해 도출한 IDO(indoleamine 2,3-dioxygenase)와 TDO(indoleamine 2,3-dioxygenase) 이중저해제 STB-C017의 동물 약효평가 결과를 담았다.

IDO와 TDO는 다수의 종양 세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효소로, 활성화되면 암 세포 내부의 면역억제 물질인 ‘키뉴레닌(kynurenine)’을 축적해 면역항암제의 치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문에 따르면 STB-C017이 대장암 세포주가 이식된 쥐 모델에 단독으로 경구 투여됐을 때 암 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인 ‘CD8+ T세포’의 종양 침윤이 증가했으며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 패턴의 변화가 유발됐다.

또 STB-C017은 면역관문억제제 2종과 병용 투여되었을 때 종양의 면역 환경을 개선시키고, 투여 받은 쥐 60% 이상에서 완전관해를 유발시켰다.

IDO 단독 저해제인 에파카도스태트(epacadostat)와의 비교 실험에서는 더 뛰어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STB-C017이 IDO뿐 아니라 TDO도 동시에 저해하는 이중저해제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됐다.

연구를 진행한 전홍재 암센터장, 김찬 교수팀은 “최근 신장암, 간암, 흑색종 등에서 표준치료로 자리 잡기 시작한 옵디보와 여보이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에서 내성을 극복하고, 치료 반응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무적인 결과”라고 평했다.

신테카바이오 관계자는 “STB-C017이 동물모델에서 주목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 자사의 AI 플랫폼인 딥매처의 성능 및 경쟁력을 보여줬다”며 “STB-C017 발굴 이후 딥매처는 더욱 고도화되었고, 고성능 슈퍼컴퓨팅 인프라까지 확장하며 AI 신약후보물질 발굴 과제를 다수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