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희토류 공룡기업 탄생..제2의 요소수 사태 오나?

사공성근 2021. 12. 6. 19:5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소수 대란으로, 중국의 수출 통제에 우리가 얼마나 무력한지 실감했죠.

중국이 이번엔 반도체,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희토류를 몰아주는 초대형 국영 기업을 설립합니다.

베이징 사공성근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서북부 네이멍구에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희토류 광산입니다.

추정 매장량만 4천만 톤에 달합니다.

국영 기업이 채굴권을 갖고 있어 사실상 중국 정부가 관리합니다.

중국은 전세계 희토류 생산의 63%, 매장량의 37%를 차지하는 희토류 강국입니다.

그런데 이런 중국이 전국에 퍼져있는 희토류 채굴과 생산권을 하나의 국영 기업에 몰아주고, 초대형 희토류 기업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중국에서조차 희토류 '항공모함'이라고 부를 정도입니다.

[장신슈오 / 상재증권 애널리스트 ]
"중국의 희토류 보유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이번 합작을 통해 자원을 확보한다면, 전세계의 희토류 '항공모함'이 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희토류는 반도체와 전기차, 무기 등 첨단 산업에 사용되는 핵심 자원으로 석유보다 가치고 높다고 평가할 정도입니다.

미국이 반도체 등 수출 제한으로 중국을 압박하자 중국은 광물 자원으로 반격에 나서는 양상입니다.

우리나라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우리나라의 희토류 금속 중국 수입 의존도는 91.2%, 지난달 대란 사태를 겪은 요소 수입 비중(97.6%)과 비슷합니다.

[국무회의(지난달 9일)]
"특정국가의 수입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은 품목에 대해서는 사전조사를 철저히 하고 면밀한 관리체계를 구축해주기 바랍니다."

14억 인구와 막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미국에 대항하고 있는 중국.

요소수 사태에서 겪었듯 천연자원을 무기로 주변국 길들이기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

사공성근 베이징 특파원

영상취재 : 위진량(VJ)
영상편집 : 최창규

사공성근 기자 402@donga.com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