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야, 소상공인 정책 포문 .. 포퓰리즘 경쟁해선 안 된다

2021. 12. 6. 18: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의 선대위체제가 갖춰지면서 이제 본격 정책대결로 나아가는 양상이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6일 선대위 출범식을 갖고 코로나로 무너진 경제의 회생을 1호 공약으로 내놨다.

이 후보는 "국가가 부담해야 할 방역 비용을 국민에게 부담시켰다"며 "소상공인에게 다 떠넘기고 국가부채 비율은 50%도 안 되게 낮게 유지하는 정책으로 국민이 어떻게 살겠느냐"고 정부를 겨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의 선대위체제가 갖춰지면서 이제 본격 정책대결로 나아가는 양상이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6일 선대위 출범식을 갖고 코로나로 무너진 경제의 회생을 1호 공약으로 내놨다. 우여곡절 끝에 정권교체의 총대를 멘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의 첫 작품인 셈이다. 코로나로 인한 양극화와 경제의 그늘을 치유하지 않고서는 모든 정책이 만사휴의라는 절박함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한 방송에 출연해 "그동안 말은 양극화를 해소한다고 얘기했지만 양극화는 더 벌어졌다"며 "코로나 사태로 인해 경제적으로 황폐해진 사람들을 어떻게 소생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이 1호 공약으로 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로 인해 가장 피해가 큰 소상공인, 자영업자, 사회적 약자를 보듬는 정책이 최우선일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날 국힘이 소상공인 회생을 1호 공약으로 내놓자 민주당과 이재명 후보도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이 후보는 "국가가 부담해야 할 방역 비용을 국민에게 부담시켰다"며 "소상공인에게 다 떠넘기고 국가부채 비율은 50%도 안 되게 낮게 유지하는 정책으로 국민이 어떻게 살겠느냐"고 정부를 겨냥했다. 국가가 빚을 내서라도 소상공인 등 피해계층을 지원해야 한다는 논리다. 문재인 정부의 실정과 거리를 두면서 중도층을 껴안으려는 의도와 함께 소상공인에 호소하는 효과도 노린 일석이조 전략이다. 이 후보는 최근 자신의 정책 근간이었던 보편적(전 국민 대상) 지원금과 기본소득 정책마저 포기하는 등 파격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중심을 잃은 선거용 변심이라는 비판이 있는가 하면, 현실에 눈뜬 실용적 접근이라며 반기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 후보가 국가재정을 쌈짓돈 쓰듯 생각한다는 것이다.

여야가 소상공인 정책을 우선순위에 둔 것은 환영할 일이다. 한국경제는 소상공인 자영업 비중이 25.1%로 G7 국가의 2배에 달한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900만에 이른다. 이들은 코로나 팬데믹의 가장 큰 피해계층이다. 두 유력 대선주자들이 이들의 회생을 최우선 공약으로 삼은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두 유력 후보 모두 재정을 통한 현금투입에만 매달리고 있다. 윤 후보가 50조원의 소상공인 긴급지원책을 내놓자 이 후보는 상의해보자고 맞장구를 쳤다. 정책 대결을 벌이는 것은 바람직하나 자영업의 구조적 해법 없이 현금만 투입하려는 포퓰리즘 경쟁만 해선 안 된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