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환 붉은 희귀작 20억에 나왔다..경매 최고가 기록 세울까

이한나 2021. 12. 6. 15: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옥션 14일 주요경매
1982년작 '선으로부터'
희소성 높은 붉은색 작품
박서보·이건용·샤갈 등
127억원 규모 출품
이우환 1982년작 `선으로부터`. [사진 제공 = 서울옥션]
한국 추상화 거장 이우환 작품이 또 다시 국내 생존 작가 경매 최고가 기록을 세울까.

그가 1982년 그린 붉은색 희귀작 '선으로부터'(182.6×226.5cm)가 12월 경매 시장에 등판했다. 지난 8월 국내 생존 작가 경매 최고가를 경신한 이우환 1984년작 '동풍'도 이 작품과 동일하게 추정가 20억원에서 출발했지만 31억원까지 급등하며 기록을 세운 바 있어 기대를 모은다.

이번 출품작은 지금까지 국내외 소개된 붉은색 '선으로부터' 연작 중 가장 큰 150호 크기다. 이우환이 1970년대 초반 시작한 선 연작은 반복을 통해 차이를 드러내는게 특징이다. 작품이 제작된 1982년은 이우환이 독일 뉘른베르크, 영국 런던, 독일 베를린을 거쳐 이탈리아 밀라노까지 이어지는 유럽 전시 일정을 이어가던 때였다. 작품 뒷면에 'in Milano(밀라노에서)'라고 표기돼 이탈리아에서 제작됐음을 알 수 있다.

서울옥션은 오는 14일 서울 신사동 강남센터에서 열리는 올해 마지막 메이저 경매에 이우환 작품을 포함해 127억원 규모 미술품 총 159점을 출품한다고 밝혔다.

LOT 153 박서보의 1991년작 `묘법 No.910614`(130×162cm)추정가 5억~7억원. [사진 제공 = 서울옥션]
근현대 미술 부문에서는 단색화 열풍을 이끄는 박서보의 완성도 높은 작품들도 출품됐다. 1991년작 '묘법 No.910614'(130×162cm)은 1970~1980년대 연필 묘법에서 1980년대 중후반 캔버스 위의 한지(닥지)를 활용한 작품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완성도가 가장 높다고 손꼽히는 시기 작품이다. 추정가 5억~7억원이다.

박서보는 애초에 젯소나 물감으로 묘법 연작 화면 바탕을 준비하다가 1989년경부터 한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닥종이를 겹겹이 화면에 올린 뒤 젯소나 유색 물감을 얹어 종이를 적신 뒤, 다시 먹을 붓고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해 종이를 밀거나 흔적을 내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화면에 균일한 무늬를 만들어 가벼운 터치를 통해 지우거나 부수어 나가는 과정도 거친다. 지난 2006년 시카고 아트페어 등에 출품된 이력이 있는 박서보의 2005~2006년작 120호(130×195cm) '묘법 No. 051128'도 함께 출품됐다. 추정가 5억원이다.

LOT 141 이건용의 `Bodyscape 76-2-2019` (161.5×130cm) 추정가 1억8000만~2억5000만원 [사진 제공 = 서울옥션]
이건용의 'Bodyscape 76-2-2019' 100호(161.5×130cm) 작품은 작가적 행위의 흔적이 두드러져 눈길을 끈다. 작가가 대형 캔버스 화면 앞에서 뒤돌아서 팔을 뻗어 붓질을 행한 결과물이다. 등지고 있는 캔버스에 물감이 어떤 형태와 선으로 표현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작가는 자신의 신체를 적극 활용해 붉은 바탕 위에 강렬한 색을 표현했다. 추정가 1억8000만~2억5000만원이다.
LOT 149 마르크 샤갈의 1976년작 `기도`(72.3×54cm) 추정가 18억5000만~30억원 [사진 제공 = 서울옥션]
외국 미술 부문에서는 마르크 샤갈의 말년 대표작인 1976년 작품 '기도'(72.3×54.0cm)가 출품됐다. 자신과 가족, 그의 고향인 벨라루스 비테프스크에 대한 추억과 사랑을 풍부한 색채로 표현한 작품이다. 유대인의 유랑적 삶이 드러난데다 작품이 다섯 가지 색면 분할 구조로 대비를 이룬다. 추정가 18억5000만~30억원이다.
LOT 152 도널드 저드의 1967년작 `Untitled(무제)`(12.2×175×23㎝) [사진 제공 = 서울옥션]
아울러 20세기 대표적 미니멀리즘 작가 도널드 저드의 초기작인 1967년 '무제'(12.2×175×23㎝)도 나왔다. 저드는 1950년대 추상표현주의 회화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1959년 오브제 작품으로 입체 작업을 발전시켰다. 이번 작품은 아연철판으로 만들어진 간결한 형태의 사각형 모듈 위에 짙은 푸른색 래커를 얇게 채색해 강렬하고 차가운 금속의 질감이 두드러진다. 지난달 소더비 뉴욕 경매에서 이 작품과 비슷한 크기의 빨간색 작품이 280만 달러(약 33억원)에 팔린 바 있다.

고미술품 부문에서는 10폭의 대형 병풍으로 구현된 '요지연'(349.0×145.5cm)이 눈길을 끈다. 서왕모(西王母)가 사는 곤륜산(崑崙山)의 요지(瑤池)에서 열린 연회 장면을 화려한 채색으로 장식한 작품으로 궁중장식화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추정가 5억~8억원이다.

LOT 026 단원 김홍도의 `산수인물도` 추정가 9000만~1억5000만원. [사진 제공 = 서울옥션]
이밖에도 추정가 4000만~8000만원인 고송유수관 이인문의 산수도(山水圖)와 추정가 9000만~1억5000만원인 단원 김홍도의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등 18세기 조선시대 회화 거장들의 작품과 근대기 희귀서적, 19세기 공예 작품들도 출품됐다.

전시는 14일까지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오전 10시부터 저녁 7시까지 진행되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이한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