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판 닫히면 키성장 클리닉 가도 소용 없나요?"

전아름 기자 2021. 12. 6. 12: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성장판 닫히면 키 안크나요?'라는 부모들의 질문에 토탈성장관리 톨앤핏 이수경 박사는 "성장기 아이들의 뼈 상태는 성인과 다르다. 성인은 성장판이 완전히 닫혀 키가 전혀 클 수 없지만, 아이들은 성장판이 거의 닫혔다는 진단을 받아도 아직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므로 제대로 노력하면 조금씩 클 수 있다. 찰흙 겉이 굳었다고 속까지 굳은 것은 아니지 않나. 마찬가지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장호르몬 분비를 극대화하는 최고의 방법은 운동과 숙면이다. 그런데 이게 요즘 아이들에게 가장 잘 안 되는 것들이다. 포기하지 말고 주 2~3회 한 시간 이상 성장판 자극 운동을 꾸준히해 뼈를 잡고 있는 근육과 인대 이완을 도와주는 성장마사지를 하면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 반신욕도 좋다. 요즘 못 먹어서 못 크는 사람은 없어도 운동을 안 해서 못 크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강정보] '숙면과 운동' 꾸준히 한다면 키성장, 끝날때 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

【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잠원동에 사는 중학교 1학년 A군. 초등학교 때에는 키가 큰 편이었는데 중학교 입학 후 키가 3~4cm 밖에 자라지 않아 키성장 클리닉에 방문했다. 성장판 검사 결과 뼈나이가 2년 빠르고 성장판이 거의 닫혀 현재 키가 165cm인데, 170cm가 되기 어렵다는 말을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성장호르몬 주사도 시기가 늦었고 그나마 성장판 자극 운동을 하면 키성장에 조금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말에 운동을 시작했다. 중학생이 된 후 학원이 늦게 끝나는 바람에 늘 야식을 먹고 늦게 자고 운동도 못 한 것이 후회가 된다. 

#서대문에 사는 초등학교 6학년 C양, 생일이 빨라 5학년 여름에 초경을 시작했다. 초등학교 6학년 평균키를 찾아본 C양은 본인이 또래보다 많이 작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아직 성장기니까 더 클 것이라고 생각은 했는데, 걱정스러운 마음에 성장클리닉에 방문해 성장검사를 받아본 C양은 앞으로 클 수 있는 시간이 1년 남짓이란 진단을 받았다. 밤마다 유튜브를 보고 성장판 마사지를 하고 있지만, 초경 직후 키성장에 더 관심을 갖고 키성장 클리닉에 방문했더라면 조금 더 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후회가 든다.

도움말=톨앤핏 이수경 박사. ⓒ톨앤핏

'성장판 닫히면 키 안크나요?'라는 부모들의 질문에 토탈성장관리 톨앤핏 이수경 박사는 "성장기 아이들의 뼈 상태는 성인과 다르다. 성인은 성장판이 완전히 닫혀 키가 전혀 클 수 없지만, 아이들은 성장판이 거의 닫혔다는 진단을 받아도 아직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므로 제대로 노력하면 조금씩 클 수 있다. 찰흙 겉이 굳었다고 속까지 굳은 것은 아니지 않나. 마찬가지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장호르몬 분비를 극대화하는 최고의 방법은 운동과 숙면이다. 그런데 이게 요즘 아이들에게 가장 잘 안 되는 것들이다. 포기하지 말고 주 2~3회 한 시간 이상 성장판 자극 운동을 꾸준히해 뼈를 잡고 있는 근육과 인대 이완을 도와주는 성장마사지를 하면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 반신욕도 좋다. 요즘 못 먹어서 못 크는 사람은 없어도 운동을 안 해서 못 크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수경 박사는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미리 키성장 클리닉에 방문해 성장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볼 것"이라며 "성장판이 닫혀도 키 크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배우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Copyright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