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사망 70명 최다.. 서울도 오미크론 의심환자
입원 기다리거나 병상 배정받는 중 숨진 환자 한달새 16명
서울대·경희대·외대 외국인 유학생 1명씩 오미크론 의심
충북 거주자도 오미크론 의심.. 전국 확산 우려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을 시작한 이래 코로나 확진자와 중증 환자 급증세가 이어지면서 하루 사망자가 70명까지 올라섰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 3일 국내 코로나 신규 사망자는 70명으로 하루 기준 역대 가장 많았다. 확진자는 증가해도 사망자는 30~40명대에 머물렀는데 2배 가까이로 급증했다.
더 문제는 “돌발적인 피크(Peak·정점)가 아니라 장기적 추세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는 점이다. 이런 사망자 급증이 계속된다는 얘기다. 통상 코로나 고위험군 등이 확진 판정 이후 중증으로 악화하고 사망에 이르는 데 2~4주가 걸린다. 최근 확진자 급증세는 이달 중순을 지나면서 사망자 급증을 낳을 수 있다는 의미다. 마상혁 경남도의사회 감염병대책위원장은 “11월 들어 확진자와 중증 환자가 증가한 영향이 뒤늦게 반영된 것”이라며 “최근 확진자가 5000명대로 더 늘었는데 병상은 부족하고, 정부 방역 강화 조치도 늦었기 때문에 앞으로 환자와 사망자도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위협으로 떠오른 오미크론 변이 감염도 연일 전국 곳곳으로 퍼지고 있다. 인천·경기에 이어 서울과 충북에서 감염 의심자가 나왔다. 주말 새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는 6명이 늘어 12명까지 늘었고, 감염으로 추정되는 확진자도 14명으로 집계됐다. 감염 추정자 중에는 오미크론 집단감염이 발생한 인천 미추홀구 교회를 방문한 서울 거주 20대 여성과 충북 거주 70대 여성이 포함됐다. 서울 소재 대학생 3명도 인천 미추홀구 교회를 방문한 뒤 코로나 확진을 받고 오미크론 추정 사례로 분류돼 현재 분석 중이다.
수도권 의료 체계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병상에 도착하기도 전에 숨지는 코로나 환자도 속출하고 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1~27일까지 1주일 동안 코로나 확진자 10명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기도 전에 숨졌다. 방역 당국은 “이 가운데 3명은 병상 배정 전에, 7명은 병상 배정 도중에 사망했다”고 알렸다. 위드 코로나가 시작된 지난달 1~20일까지 병상 배정을 받지 못한 채 숨진 환자는 6명이었다. 작년 2월부터 올 10월까지 입원 대기 중 사망한 경우는 26명이다. 위드 코로나 이후 병상 부족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병상 배정 또는 입원 이전에 숨지는 경우가 급증한 것이다.
오미크론 의심자로 분류된 서울 소재 대학생은 한국외대와 경희대, 서울대 각각 1명이다. 한국외대는 “본교 외국인 학생이 지난 3일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고 자택 치료 중”이라며 “오미크론 의심 사례로 분류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키르기스스탄 출신인 이 학생은 교회 방문 이튿날인 지난달 29일부터 사흘간 교내 사회과학관, 도서관 등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외대는 “학생이 방문한 장소를 방역 조치하고 밀접 접촉자를 대상으로 코로나 검사를 안내했다”고 밝혔다. 경희대에서도 카자흐스탄 출신 학생 1명이, 서울대에서는 러시아 출신 학생 1명이 같은 교회를 방문한 이후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아 오미크론 감염으로 추정된다. 해당 교회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선교 활동을 활발히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가 이미 역학조사의 범위를 넘어 확산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퍼질 경우 고령층에게 새로운 위험이 될 수 있다. 최재욱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의 중증률과 치명률이 델타 변이보다 낮다고 해도 만약 기존 면역을 회피하고 전파력이 더 강하면 확진자 수 자체가 크게 늘 수밖에 없다”며 “병상이 부족한 상황에서 고위험군 중심으로 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덩달아 늘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이달 중순까지 중환자 병상 50개, 서울시는 이와 별개로 이달 말까지 중환자 병상을 52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중환자 병상 확보로 치료 여력이 생기는 것보다 확진자 급증 추세가 훨씬 가팔라 당분간 중증 환자와 사망자 증가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공포의 12월’이 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특히 백신을 일찍 맞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경우, 접종을 완료했더라도 백신 효과가 급감할 수 있어 부스터샷을 맞지 않을 경우 돌파 감염되거나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에 더 크게 노출된 상태다.
백신 접종률이 인구 대비 80%를 넘었는데도 사망자가 급증한 건 정부의 준비 부족과 뒤늦은 대응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지난가을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지만, 정부는 올 10월에서야 단계적 일상 회복 논의에 들어갔고 그로부터 불과 2~3주의 준비 과정을 거쳐 일상 회복을 곧바로 개시했다. 백신 기본 접종 완료 후 3~5개월 만에 백신 효과가 급감한다는 사실도 정부 발표가 아닌 언론 보도로 알려졌다. 여기에 더해 중증 환자가 폭증할 경우에 대비한 병상 확보 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않은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hat’s New on Netflix: Highlights of 1st week of November
- 4억 람보르기니 받은 아반떼…"중앙선 침범했다" 목격담 쏟아진 사고
- “화난 모습 처음”…오타니, 다저스 우승날 日 취재진 노려본 이유
- 북러 “국제 정세 악화는 美와 동맹국 도발 탓”
- 태국서 택시 훔쳐 달아난 한국인 50대 남성…“취한 사람 같았다”
- ‘은평구 존속 살해’ 30대 男 구속…“도주 우려”
- 이란 최고지도자, 이스라엘에 “압도적 대응 받게될 것”
- 민주당 집회에 與 “특검은 핑계, 목적은 ‘이재명 방탄’”
- 사실혼 아내 마구 때려 숨지게 한 70대, 2심서도 징역 20년
- 한국, 쿠바와 평가전 13대3 완승… 2연전 싹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