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고위험군 추가접종 간격 3개월로 일괄조정 필요"

박철근 2021. 12. 5. 18: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사태가 악화일로를 치닫으면서 백신 접종의 속도가 그 어느때보다 중요해진 가운데 고령층과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추가 접종 간격을 3개월까지 단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영국은 지난달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접종 간격을 기존 6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하는 등 백신 추가 접종에 속도를 내고 있다.

5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최근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대상 연령을 18세 이상 성인으로 확대하고 추가접종 간격을 1~2개월 단축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英 JCVI "18세 이상 성인 추가접종 간격 6개월→3개월" 권고
전문가 "AZ 백신접종 국민 돌파감염 우려 높아"
60~74세 대부분 AZ 백신 접종..접종백신별 구분해 추가접종 계획 세워야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코로나 사태가 악화일로를 치닫으면서 백신 접종의 속도가 그 어느때보다 중요해진 가운데 고령층과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추가 접종 간격을 3개월까지 단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역패스 확대, 사적모임 제한 등 기존 강화된 방역조치만으로는 확진자나 위중증환자의 급증,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등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 영국은 지난달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접종 간격을 기존 6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하는 등 백신 추가 접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추가접종 간격 권고 사항. (자료=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5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최근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대상 연령을 18세 이상 성인으로 확대하고 추가접종 간격을 1~2개월 단축했다. 하지만 최근 위중증 환자와 60대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돌파감염이 발생하고 있어 신속한 추가접종에 대한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이에 대해 “60세 이상 및 18~59세 중 고위험군의 접종간격을 단축해 접종완료 4개월 후 3차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희망하는 경우 의료기관을 통해 잔여백신 등을 활용, 접종완료 3개월 후에도 조기접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그러나 “국민 희망에 따라 접종간격이 달라지는 게 무슨 가이드라인이냐”며 “적어도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추가접종 간격을 3개월로 줄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델타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바이러스 감염을 중화해 예방효과를 유도하는 항체의 수)는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2차 접종 3개월 후 98, 화이자는 5개월 후 168로 각각 떨어진 상태. 김 교수는 “예방효과를 가진 중화항체가가 일반적으로 ‘100’ 이하면 효과가 없다고 봐야 한다”며 “최근 중증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고령층 중 60~74세 대부분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만큼 돌파감염 가능성이 높은 이들 대상군부터 조속히 추가접종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과학적인 근거와 정책적인 의지만 있다면 추가접종 간격을 더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이라며 “현재 들여온 백신과 연말까지 들여올 백신양을 고려하면 추가접종 간격을 줄이더라도 백신부족현상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실제 3차 추가접종에 사용할 수 있는 mRNA(메신저리보핵산) 계열의 잔여백신은 이날 현재 화이자 663만4000회분, 모더나 482만8000회분 등 1146만2000회분. 여기에 6일 화이자 백신 248만3000회분을 포함, 연말까지 9848만3000회분의 백신이 추가로 들어올 예정이다.

박철근 (konpo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