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 나홀로 고용확대

이재명 기자 2021. 12. 5. 1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대유행 영향으로 대부분의 산업에서 고용이 위축됐지만 제약·바이오 기업은 오히려 채용이 늘었다.

코로나19 백신, 치료제를 필두로 글로벌 사업 확대와 연구개발(R&D) 투자가 늘어나면서 K바이오는 국내 일자리 창출 가뭄 속 단비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제약·바이오 기업들을 중심으로 고용 확대가 두드러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분기에 일자리 창출 4.1% 늘어
SK바사, 채용인원 2배이상 급증
[서울경제]

코로나19 대유행 영향으로 대부분의 산업에서 고용이 위축됐지만 제약·바이오 기업은 오히려 채용이 늘었다. 코로나19 백신, 치료제를 필두로 글로벌 사업 확대와 연구개발(R&D) 투자가 늘어나면서 K바이오는 국내 일자리 창출 가뭄 속 단비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매출 규모가 큰 500개 기업 중 313개 기업의 3분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제약·바이오가 고용인원이 4.1% 늘어나며 전체 업종 중 가장 많은 일자리를 창출했다. 전체 고용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 줄었지만 제약·바이오는 증권사(3.5%), 정보기술(IT)·전기전자(3.4%), 공기업(3%) 등을 제치고 기업 고용을 이끌었다.

코로나19 관련 제약·바이오 기업들을 중심으로 고용 확대가 두드러졌다.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등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CMO)하는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는 지난해 3분기 548명이었던 직원이 1년 만에 1,147명으로 2배 이상(109.3%) 급증했다. 국산 첫 상용 백신이 유력한 'GBP510' 개발을 진행하면서 생산 인력 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까지 직원이 크게 늘었다.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은 물론 릴리, GSK로부터 코로나19 치료제의 위탁생산도 맡은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도 올 3분기 직원이 3,745명으로 1년 만에 29.9% 늘었다. 이 회사는 올해만 기존 CMO 계약에서 10번째 증산 요청을 받으면서 수주 규모가 8,826억 원 늘어났다.

코로나19 백신을 유통하는 GC녹십자(006280)도 직원 수가 2,23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 중인 종근당도 2,442명으로 5.9% 증가했다.

이재명 기자 nowlight@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