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작고 문학인 추념 세미나' 11일 최명희문학관서 개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혼불기념사업회와 최명희문학관은 오는 11일 오후 4시 최명희문학관에서 전북 작고 문학인을 추념하는 세미나를 연다고 5일 밝혔다.
매년 최명희 소설가의 작고 날짜에 맞춰 여는 이 세미나는 연구자들에게 전북 출신 문학인의 너르고 깊은 문학 세계를 듣고 전북 문학의 힘을 살피고자 마련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주=뉴시스] 윤난슬 기자 = 혼불기념사업회와 최명희문학관은 오는 11일 오후 4시 최명희문학관에서 전북 작고 문학인을 추념하는 세미나를 연다고 5일 밝혔다.
매년 최명희 소설가의 작고 날짜에 맞춰 여는 이 세미나는 연구자들에게 전북 출신 문학인의 너르고 깊은 문학 세계를 듣고 전북 문학의 힘을 살피고자 마련됐다.
올해 주목한 문학인은 최명희(1947∼1998) 소설가와 이광웅(1940∼1992)·이연주(1953∼1992) 시인이다.
군산 출신인 이광웅·이연주 시인은 우리 사회가 민주화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겪은 정치·사회적 갈등을 시로 형상화했다.
이광웅 시인은 정치 권력과의 충돌을 온몸으로 겪어낸 시를 남겼고, 이연주 시인은 당대의 부정하고 부패한 현상을 신체의 병리적 증상으로 해석했다.
이런 점은 최명희 작가가 무너져가는 조선 후기의 사회윤리를 소설 '혼불'에 눈썰미 있게 담아낸 것과 닮았다고 최명희문학관 측은 전했다.
세 작가에 관한 연구는 각각 문학박사 서철원·박태건·문신씨가 맡았다.
이번 세미나의 좌장은 문학박사 김병용씨가, 토론은 문학박사 장윤준·윤수하씨가 참여한다. 또 세미나에 앞서 동화작가 김근혜씨가 '소설 혼불 속 이야기로 동화 만들기'를 주제로 사례발표와 영상 시연을 한다.
최명희문학관 최기우 관장은 "우리의 작고 문학인 세미나는 학술적으로 작가와 작품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보다 최명희·이광웅·이연주 세 문학인의 이름을 다시 부르며 삶과 작품을 기억하는 의미가 크다"며 "더 많은 학자의 본격적인 학술연구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고 문학인을 추념하는 연구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ns4656@newsis.com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유명男배우, 부엌에서 넘어져 뇌출혈 사망…향년 67세
- 기은세, 11년만 파경…두집살림 고백 두달만
- "꼴보기 싫어 죽겠다"…백종원, 예산시장 관련 분노한 까닭
- 홍상수·김민희, 국내 관객 만난다…'우리의 하루'
- 탈북배우 김아라 "결혼합니다"…판빙빙 닮은꼴
- "속옷 사이즈 뭐 입어?" 조세호, 김숙에 감동 받은 사연
- 아이폰15 프로, 발열 논란…TSMC 3나노 역풍 맞나
- 임채무, '150억 빚' D랜드서 아내 만나 재혼…"화장실서 살아"
- "산 채로 매장 당했다…'결혼지옥' 의붓딸 성추행 논란 부부, 결국 이혼
- "아이돌급 스케줄"…안정환, 방송국 화장실서 머리 감다 '울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