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뒤 국내 대학 절반 사라질 수도"..미래전망 전문가 포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향후 25년 안에 국내 대학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습니다.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전망 전문가 포럼'에 발표된 '인구변동과 미래 전망: 지방대학 분야' 보고서는 오는 2042년∼2046년의 국내 대학 수를 190개로 예상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향후 25년 안에 국내 대학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습니다.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전망 전문가 포럼’에 발표된 ‘인구변동과 미래 전망: 지방대학 분야’ 보고서는 오는 2042년∼2046년의 국내 대학 수를 190개로 예상했습니다.
올해 국내 대학은 모두 385곳인데, 25년 뒤에는 거의 절반만 살아남는 셈입니다.
보고서를 보면 서울을 제외한, 지역의 331개 대학 중 44%인 146곳만 명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전체 17개 시도 가운데 대학 생존율이 75% 이상인 곳은 서울과 세종뿐이었습니다.
강원(43.5%), 대전(41.2%), 경북(37.1%), 부산(30.4%), 전북(30%) 등은 50%를 밑돌았고, 경남(21.7%)과 울산(20%), 전남(19%) 등은 5개 대학 중 1곳 정도만 살아남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별 출생아 수와 초·중·고등학교 학령인구 증감률, 대학별 신입생 충원율 등을 추산해본 결과 2027년부터 출생아의 약 48%가, 2042년∼2046년에는 약 49%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태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이에 따라 2037년∼2041년 서울과 경기를 제외한 지방의 초·중·고 학령인구가 급격히 줄고, 2042년부터는 대학생 학령인구가 영향을 받아 지방 대학들이 생존 위기에 봉착한다는 게 보고서 내용입니다.
연구를 담당한 이동규 동아대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는, 학생 수가 감소하면 지방 대학의 등록금 수입이 감소해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수도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인구 유출로 지방세 수입이 줄어드는 지역들의 수도권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수도권 청년들의 세금 부담이 커져 청년세대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김시원 기자 (siwon@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화장실권? 오줌권?…해외는 어떨까 알아봤습니다
- [특파원 리포트] 강제동원 ‘은폐’ 딱 걸린 일본…이번엔 “99엔도 못 준다”
- [특파원 리포트] 공산당역사박물관② 시진핑의, 시진핑에 의한, 시진핑을 위한
- [특파원 리포트] 온두라스, 솔로몬 그리고 중국과 타이완
- [사건후] “재벌가 며느리들과 친분”…12억 뜯어내고 10년 도피
- “송해기념관 오세요…건강이 허락하는 날까지 마이크 잡이로”
- 오미크론 강한 감염력 비밀은…“감기 바이러스와 혼종 가능성”
- 독일 발레단 크리스마스에 ‘호두까기인형’ 안 올린다…“인종차별 요소 있어”
- [사사건건] 서울에도 수달이 산다 #샛강생태공원
- 멸균 안 된 ‘백내장 수술보조제’ 4년 가까이 병원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