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감기+코로나 바이러스의 혼종"..감염 열쇠 풀리려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의 변이 '오미크론'의 강한 전염력은 감기 바이러스에서 일부 유전자를 획득한 혼종이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바이오메디컬 정보 분석업체 엔퍼런스는 오미크론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는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달리 통상적인 감기 바이러스에서 발견되는 유전자 코드를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 변이 ‘오미크론’의 강한 전염력은 감기 바이러스에서 일부 유전자를 획득한 혼종이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바이오메디컬 정보 분석업체 엔퍼런스는 오미크론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는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달리 통상적인 감기 바이러스에서 발견되는 유전자 코드를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기존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SARS-CoV-2) 와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지만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HCoV-229E)에 동시 감염된 숙주 체내에서 이러한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습니다.
논문 공동저자인 생명공학 전문가 벤키 순다라라잔은 오미크론 변이와 HCoV-229E 바이러스가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코로나19가 인간 숙주에 더욱 잘 적응해 일부 면역체계를 우회할 수 있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통상적으로 감염력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한다. 심각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는 특성은 상실한다”면서도 “오미크론 변이가 그런 경우인지 확실히 알기 위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오미크론이 감기처럼 쉽게 퍼지지만, 치명력이나 중증력에 대해서는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다만 해당 연구 결과는 아직 동료심사를 거치지 않은 사전출판 단계입니다.
한편, 지난달 24일 남아공이 세계보건기구(WHO)에 오미크론 변이의 존재를 처음 보고한 이후 현재 오미크론 변이는 최소 40개국으로 퍼졌습니다. 남아공의 경우 지난달 25일 2,465명이었던 신규 확진자 수가 이달 4일 1만6,366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남아공 보건당국은 신규 확진자의 75∼80%가 오미크론 변이 감염 사례일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종인 등판'선대위, 임태희·금태섭 합류
- 이번 달부터 본격적인 3차 접종 ″모더나, 화이자 중심″
- 신생아 공갈에 테이프 붙이고…병원 측 ″아기가 너무 칭얼거려″
- ″쾌유 빈다″며 50년지기 친구가 준 복권, 11억 원에 당첨…어떻게 나눌까?
- 신봉선, 새벽 병원행 해명 '걱정마세요..검진가는 것' [M+★SNS]
- 고민정 ″이재명, 얼마나 가슴 찢어졌을까…진흙 속 연꽃 봐달라″
- [영상] 8000원 옷 훔쳤다고…17살 소녀 폭행하고 속옷 자른 옷가게 주인
- [영상] 강아지 잡으려다가 '쿵'…하차한 승객 치어버린 택시
- 개·사과 작가 VS 김부선 그림 작가 '벽화 배틀'
- '오미크론 첫 보고' 남아공, 확진자 6배 폭증…″델타 변이와 대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