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車 10만대 클럽 5년만에 사라졌다

장우진 2021. 12. 5. 1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여파에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연 '10만대 클럽' 명맥이 5년 만에 끊길 전망이다.

5일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발표한 판매 실적 자료에 따르면 올 1~11월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현대차의 소형트럭 포터로 8만4585대가 팔렸다.

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완성차 생산 차질이 발생하면서 10만대 판매 모델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 그랜저. 현대자동차 제공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여파에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연 '10만대 클럽' 명맥이 5년 만에 끊길 전망이다.

5일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발표한 판매 실적 자료에 따르면 올 1~11월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현대차의 소형트럭 포터로 8만4585대가 팔렸다.

이어 현대차 그랜저 8만1344대, 기아 카니발 6만7884대, 기아 쏘렌토 6만4373대, 현대차 아반떼가 6만481대로 뒤를 이었다.

8만대 이상 팔린 포터와 그랜저는 월평균 판매량이 8000대에 미치지 못한다. 12월 실적이 아직 남았지만, 올해 10만대 이상 판매되는 모델은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0만대 클럽이 없었던 해는 2000년 이후 2003년과 2004년, 2013년, 2016년 등 4차례뿐이었다. 2016년에는 경기침체와 현대차 파업 등이 영향을 미쳤다.

2000년 이후 연간 10만대 이상 팔린 모델은 7개다. 쏘나타가 14회로 가장 많았고 아반떼 6회, 그랜저 5회, 모닝 3회 순이다. 포터, 싼타페, SM5는 각 1차례씩 10만대 클럽에 가입했다. 2011년에는 아반떼, 모닝, 그랜저, 쏘나타 등 4개 차종이 10만대 이상 팔렸다.

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완성차 생산 차질이 발생하면서 10만대 판매 모델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4년 연속으로 10만대 클럽에 가입한 그랜저의 판매량은 올해 들어 작년보다 40% 이상 줄었다. 그랜저를 생산하는 아산공장은 올해 수차례 셧다운(일시 가동중단)을 반복했다.

국내 완성차업체의 내수 판매량은 3월 이후 9개월 연속으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반도체 수급난은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 해소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지만 오미크론 변이가 글로벌 확산세를 보이고 있어 변수는 여전한 상황이다.

장우진기자 jwj17@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