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길리어드, '유리 입자' 나온 렘데시비르 5만5천병 회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자사의 코로나19 치료제 주사약인 렘데시비르에서 유리 입자가 발견됐다며 5만5000개의 약병을 회수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O)가 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길리어드는 이날 성명을 내고 렘데시비르에서 유리 입자가 보인다는 고객 불만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미국에서 코로나 입원 환자 1만1000명을 치료할 수 있는 분량의 렘데시비르 약병에 리콜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자사의 코로나19 치료제 주사약인 렘데시비르에서 유리 입자가 발견됐다며 5만5000개의 약병을 회수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O)가 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길리어드는 이날 성명을 내고 렘데시비르에서 유리 입자가 보인다는 고객 불만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미국에서 코로나 입원 환자 1만1000명을 치료할 수 있는 분량의 렘데시비르 약병에 리콜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길리어드는 문제의 약병이 지난 10월부터 미국 전역에 배포됐다면서 “유리 입자가 함유된 주사제를 투여하면 염증이나 붓기가 발생할 수 있고 심장과 폐 또는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을 유발하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현재까지 부작용 사례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고 밝혔다.
또한 사측은 코로나 치료제의 비축량이 충분하다면서 이번 리콜 조치가 미국 등 다른 나라에 대한 치료제 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렘데시비르는 12세 이상 어린이와 성인에게 사용할 수 있고 통상 최대 10일 동안 매일 한 차례씩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된다. 항바이러스 치료제 가운데 유일하게 FDA 허가를 받았으며 최근에는 정맥주사 방식에서 경구치료제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5년 뒤 시속 400㎞ 고속철 시대… 소음·진동 잡는 게 과제
- [르포] “풍선효과만 만들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에 반발 커져
- “서울에 이렇게 예쁜 곳이” 외국인·시민들 감탄한 청와대 야간개장 첫날
- '강세' 韓 점유율마저 추락한다… 저물어가는 'MS 왕국'
- "강남서 전세사기 당했는데…" 이 피해자, 왜 구제 못받나
- [인터뷰] 모더나 설립자 “이재용 바이오 육성 전략 존경해...한국에 생산기지 검토 중”
- 국제공항평가 1위→4위… 인천공항 '톱3' 못오르는 이유
- 자동화에 소외된 노년층, 실버영화관 몰린다
- "김장 담글래요"… 한국어에 푹 빠졌다는 일본車 사장
- "주문 실수하면 1초 만에 85% 날릴 수도" 증권가 대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