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네팔 신상, 美박물관 떠나 37년만에 귀향

이의진 2021. 12. 4. 21: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네팔 수도 카트만두의 한 사원에서 도난당한 힌두교 신상이 37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와 제자리를 되찾았다.

4일 AFP 통신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네팔 당국은 올해 3월 미국에서 반환된 힌두교 신상을 이날 카트만두 시내 힌두 사원의 원래 자리에 다시 안치했다.

오랫동안 도둑맞았던 신상이 돌아오자 네팔 시민들은 사원을 찾아 전통음악을 연주하며 기쁨을 만끽했다.

네팔은 힌두교와 불교 신자가 많아 사원과 문화유산이 국민의 일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7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온 네팔의 힌두 신의 석상 (카트만두 EPA=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카트만두의 한 사원에 12∼15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힌두 신의 석상이 1984년에 서 있던 자리로 돌아왔다. 2021.12.4.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네팔 수도 카트만두의 한 사원에서 도난당한 힌두교 신상이 37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와 제자리를 되찾았다.

4일 AFP 통신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네팔 당국은 올해 3월 미국에서 반환된 힌두교 신상을 이날 카트만두 시내 힌두 사원의 원래 자리에 다시 안치했다.

풍요의 여신 락슈미와 비슈누의 화신 나라야나의 모습이 조각된 이 석상은 12∼1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네팔의 주요 문화재 중 하나다.

하지만 1984년 돌연 행방이 묘연해졌고, 6년 뒤 엉뚱하게도 미국 댈러스 미술관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댈러스 미술관 측은 문화재 수집가에게서 대여하는 방식으로 신상을 전시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과 네팔 양국은 작년부터 이와 관련한 조사에 착수했고 신상은 결국 올해 초 댈러스 미술관과 미 연방수사국(FBI)을 거쳐 네팔에 돌아올 수 있었다.

오랫동안 도둑맞았던 신상이 돌아오자 네팔 시민들은 사원을 찾아 전통음악을 연주하며 기쁨을 만끽했다.

네팔 문화재 환수 캠페인(NHRC)의 딜렌드라 라즈 쉬레스타는 "매우 행복하다. 34년에 걸친 노력이 결실을 보았기에 모두가 축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랜디 베리 주네팔 미국 대사는 "우리는 네팔의 신들이 미국과 유럽 그리고 그 외의 국가에서 환수되는 흐름이 시작되는 장면을 보고 있다"면서 "이번 일이 이어질 여러 기념식 중 첫번째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네팔은 힌두교와 불교 신자가 많아 사원과 문화유산이 국민의 일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1950년대 문호 개방 이후 문화재를 노린 범죄가 잇따라 여러 사원에선 수백 년 이상 된 문화재를 보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pual07@yna.co.kr

☞ 집안에 뱀 들어와 쫓으려다 집 한 채 다 태워
☞ 윤석열 "이준석에 선거운동 전권…뛰라면 뛰고 가라면 가겠다"
☞ 부모잃고 양육권 분쟁까지…伊케이블카 참사 아이 기구한 운명
☞ 상처가 130군데…친부 동거녀 학대에 6세 남아 결국
☞ "부모처럼 따랐는데"…10대 자매 '그루밍 성추행' 목사
☞ 서럽게 '구구구' 우는 비둘기…발걸음 멈춘 사람들
☞ 공항서 340㎞ 떨어진 日호텔에 격리된 한국인 "다시 겪기 싫다"
☞ 고양시 아파트에서 일가족 3명 숨진 채 발견
☞ "멀쩡하던 고3 딸 희귀질환…백신 인과성 없다" 가족들 분통
☞ 전종서, 이충현 감독과 열애…'콜' 출연 인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