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방역패스 불만? 투정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 아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확대 적용하기로 한 '방역 패스(접종완료 또는 음성확인서)'에 대한 불만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오는 6일부터 방역 패스 적용을 대다수의 다중 이용시설에 확대 적용하기로 했으며, 일주일 간의 계도 기간을 거쳐 오는 13일부터 백신 미접종자는 방역 패스를 지녀야 출입이 가능해집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역패스는 미접종자의 보호전략"
"백신 강제 접종 전혀 아니야"
정부가 확대 적용하기로 한 '방역 패스(접종완료 또는 음성확인서)'에 대한 불만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백신 미접종자들에 대한 차별이자 사실상 백신 접종을 강제한다는 지적입니다. 이에 대해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투정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재갑 교수는 오늘(4일) 페이스북에 "방역패스 확대에 불만이 많다는 기사들이 나오던데 지금은 그런 투정이나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이번 겨울 어떻게서든 버티려면 백신 접종부터 챙기라"고 전했습니다.
이 교수는 "의료진들은 발생한 환자를 어떻게든 치료하겠다. 한 달 어떻게든 참아보겠다"며 "저희가 버티는 동안 3차 접종, 청소년 접종, 미접종자의 접종에 전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같은 날 올린 다른 게시글에서는 '방역 패스 강화를 백신 의무화라고 하는 분들께'라고 적으며 "방역 패스는 미접종자들이 접종을 안하셨으니 음성확인서라도 내는 책임있는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방역 패스는 미접종자의 보호전략"이라며 "백신 의무화라고 한다면 백신 미접종자의 검사나 치료를 본인 부담하게 한다든지, 미접종자는 재택근무만 한다든지 미접종자에게 벌금을 내게 한다든지, 독일처럼 미접종자는 필수 목적 외 외출을 금지하다든지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며 "우리나라는 아직 이런 정책 준비도 안 하고 있고 시행도 안 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교수는 끝으로 "백신접종이 답이다"라고 재차 백신 접종을 당부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오는 6일부터 방역 패스 적용을 대다수의 다중 이용시설에 확대 적용하기로 했으며, 일주일 간의 계도 기간을 거쳐 오는 13일부터 백신 미접종자는 방역 패스를 지녀야 출입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내년 2월부터는 기존에 방역 패스 적용 대상이 아니던 만 12세~18세 청소년들에게도 방역 패스가 요구될 전망입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대통령 되어라' 하지 말고 만들어 달라″
- 김혜경-김건희, 이재명-윤석열에 ″정치할 거면 도장 찍자″
- ″무조건적인 방역패스 도입은 '인권 불평등'″ 청와대 청원
- '사진 찍고싶으면 말씀주세요' 후드티 입은 이준석…尹 ″나도 입겠다″
- 신봉선, 새벽 병원행 해명 '걱정마세요..검진가는 것' [M+★SNS]
- 이준석 '화해'·김종인 '합류'···'만찬' 홍준표는?
- [영상] ″초엘리트 집안 막내딸″…40대 가장 폭행한 만취 여성 신상 공개 '파장'
- 손흥민, 리그 5호골 갱신 후 '스파이더맨'과의 만남
- '피겨 여왕' 김연아, 美잡지 선정 역대 최고 '올림픽 영웅' 등극
- 여직원만 주는 한국전력공사의 '여성수당'…″성차별″ 국민청원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