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겨울 맞아 밀·보리 농사에 초점.."조건 탓 말라"

김지헌 2021. 12. 4. 11: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량난 해소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북한이 겨울을 맞아 밀·보리 농사를 잘 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4일 밀과 보리농사를 독려하는 기사를 4개 싣고 "밀, 보리농사를 위한 작전과 지휘를 더욱 짜고 들자"라고 독려했다.

신문은 "앞그루로 밀·보리를 재배하고 뒷그루 작물 농사도 하자면 땅의 영양물질이 더 소모된다"며 지력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벼농사를 짓지 않는 시기에 밀, 보리, 감자 등을 이모작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들녘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식량난 해소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북한이 겨울을 맞아 밀·보리 농사를 잘 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4일 밀과 보리농사를 독려하는 기사를 4개 싣고 "밀, 보리농사를 위한 작전과 지휘를 더욱 짜고 들자"라고 독려했다.

신문은 "앞그루로 밀·보리를 재배하고 뒷그루 작물 농사도 하자면 땅의 영양물질이 더 소모된다"며 지력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새로운 5개년 계획 기간 밀·보리 씨뿌리기 면적을 훨씬 확장해야 하는 조건에서 지력 개선은 더욱 절실한 문제"라고 짚어 5개년 계획이 상정한 밀·보리 생산량이 기존 양보다 상당히 많음을 시사했다.

신문은 지력을 개선할 방법으로는 "누구나 마음먹고 이악하게(악착스럽게) 달라붙어 지력을 부쩍 높이면서 품을 들이면 밀, 보리 생산량을 얼마든지 늘릴 수 있다"고 제시했다.

또 "거름 원천이 부족하다고 조건타발을 하면서 지력을 높이는데 뼛심을 들이지 않는다면 불리한 자연 기후 조건을 극복할 수 없다"면서 조건을 따지지 말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아직도 일부 간부들은 영농자재 보장 조건을 운운하거나 선진 영농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구체적 대책을 세우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편향이 나타난다"며 "경직은 혁신의 장애물"이라고 비판했다.

닥쳐올 겨울 추위 대비를 잘해야 한다는 당부도 있었다.

신문은 "밀·보리가 겨울철 사소한 얼굼피해(냉해)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애써 심어 가꾼 밀·보리가 겨울철 자그마한 피해라도 입는다면 결국 높이 세운 밀·보리 생산 계획은 종잇장 위 숫자로만 남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은 벼농사를 짓지 않는 시기에 밀, 보리, 감자 등을 이모작 한다.

최근 수년간 겨울 한파와 봄, 여름, 겨울 가뭄 등이 겹치며 이런 작물의 수확량이 감소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바 있다.

밭에서 일하는 북한 주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jk@yna.co.kr

☞ 상처가 130군데…친부 동거녀 학대에 6세 남아 결국
☞ "부모처럼 따랐는데"…10대 자매 '그루밍 성추행' 목사
☞ 서럽게 '구구구' 우는 비둘기…발걸음 멈춘 사람들
☞ "반가워요 나문희 여사"…중국 한한령 해제 신호일까
☞ "멀쩡하던 고3 딸 희귀질환…백신 인과성 없다" 가족들 분통
☞ '백반 기행' 등장한 李·尹…"아내가 출마하려면 도장 찍으라고"
☞ 전종서, 이충현 감독과 열애…'콜' 출연 인연
☞ 이재명 "정치인 믿지 말라. 이재명도 믿지 말라"
☞ 드라마 '일본침몰' 여파(?)…연쇄 지진에 일본열도 불안감 확산
☞ BJ 철구 NFT 아바타, 1천370만원에 팔렸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