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운동 헌신한 도산의 제자'..이태복 전 장관 별세(종합)

이충원_독자부 2021. 12. 4. 11: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석유회사 준비위원회 시절의 이태복 전 장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충원 기자 = 도산 안창호(安昌浩·1878∼1938) 선생을 존경하며 평생 노동·복지 운동에 헌신한 이태복(李泰馥)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3일 오후 3시께 급성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전했다. 향년 71세. 지난 1일 수원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윤상원 열사 기념행사에 참석할 정도로 정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 보령에서 태어난 고인은 예산중, 서울 성동고, 국민대 법학과(70학번)를 졸업했다. 고교 시절부터 흥사단 아카데미 활동을 시작했고, 대학생 때인 1971년 '위수령'으로 강제 징집됐다. 1977년 7월 출판사 광민사(현 동녘출판사)를 설립해 '유한계급론', '한국노동문제의 구조', '노동의 역사' 등 노동 관련 서적과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같은 외국 소설을 번역 출판했다. 용산 청과물시장에서 지게꾼을 하며 노동운동을 연구했고, 1980년 5월 비공개 노동운동 조직인 '전국민주노동자연맹(전민노련)'을 결성했다. 전민노련 중앙위원 중 한명이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을 사수하다 계엄군의 총탄에 숨진 윤상원(尹祥源·1950∼1980) 열사였다. '노학연대' 전술을 제시하는 등 적극투쟁론을 전개하다 1981년 학림사건으로 연행돼 고문 경관으로 악명을 떨친 이근안의 조사를 받은 끝에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1986년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에 의해 '세계의 양심수'로 선정됐고, 김수환(金壽煥·1922∼2009) 추기경의 석방 탄원으로 1988년 가석방됐다.

1988년 대전교도소에서 가석방 후 모친 이정숙(2020년 작고) 여사를 안고 웃는 고인 [자료사진]

1989년 10월 '주간노동자신문', 10년 뒤인 1999년 7월에는 '노동일보'를 각각 창간했다. 당시부터 대안을 제시하는 노동운동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노동조합 운동'을 표방했고, 노조와 무의탁 노인, 장애가정 등을 연결하는 등 노동운동의 복지 참여를 주장했다고 고인의 장관 시절 비서관을 지낸 박태준 경기도교육청 평화교육협력관이 설명했다. 1996년부터는 사회복지단체 '인간의 대지' 대표를 맡았다.

2001년 3월 청와대 복지노동수석비서관, 2002년 1월 보건복지부 장관에 취임해 '의약분업 사태' 수습과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 비정규직과 정규직 노동자의 격차 해소 등에 힘썼다.

2001년 사회분야장관 간담회 전 김원길 보건복지부 장관과 대화하는 이태복 수석 [연합뉴스 자료사진]

2007년 기름값, 휴대전화비, 카드수수료, 약값, 은행 금리 인하 등을 요구하는 '5대거품빼기 범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를 맡았고, 2012년에는 국민석유㈜ 설립준비위원과 상임대표로 활동했다. 2018년부터는 매헌윤봉길 월진회 회장, 임원으로 일했고, 2019년부터 5·18 윤상원 기념사업회 이사장으로도 활동했다.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좋아해 '맹글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

저서로는 옥중 서한집 '세상의 문 앞에서'(1992, 민맥), '전환기의 노동운동'(1995, 노동자신문), '우리시대의 희망찾기'(1996, 동녘), '기백이 있어야 희망이 보인다'(2000, 동녘), 자서전 '쓰러져도 멈추지 않는다'(2002, 청년사), '대한민국은 침몰하는가'(2004, 청년사), '사회복지정책론'(2006, 나남), '도산 안창호 평전'(2006, 동녘), '안창호 - 위풍당당 민족의 자존심을 일깨운 지도자'(2007, 씽크하우스), '대한민국의 활로찾기'(2009, 흰두루), '조선의 슈퍼스타 토정 이지함'(2011, 동녘), '윤봉길 평전'(2019, 동녘) 등이 있다. 2003년 청조근정훈장을 받았다. 1971년 고인과 함께 강제 징집됐던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페이스북에 올린 추모 글에서 "(1989년) 늦은 결혼식 때 함을 지고 간 게 엊그제 같은데…"라고 황망해했다.

유족은 노동운동가 출신 부인 심복자 여사와 형제 이향복·이예복·이건복(동녘출판사 대표)·이화복·이영복(문화유통북스 대표)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 고려대구로병원 장례식장 201호실에 마련됐고, 7일 오전 5시 발인을 거쳐 윤상원 열사가 있는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될 예정이다. ☎ 070-7606-4197

2000년대초 고 김수환 추기경을 만나는 고인 [유족 제공]

chungwon@yna.co.kr

☞ 윤석열 "이준석에 선거운동 전권…뛰라면 뛰고 가라면 가겠다"
☞ 고양시 아파트에서 일가족 3명 숨진 채 발견
☞ 상처가 130군데…친부 동거녀 학대에 6세 남아 결국
☞ 공항서 340㎞ 떨어진 日호텔에 격리된 한국인 "다시 겪기 싫다"
☞ "부모처럼 따랐는데"…10대 자매 '그루밍 성추행' 목사
☞ 서럽게 '구구구' 우는 비둘기…발걸음 멈춘 사람들
☞ 집안에 뱀 들어와 쫓으려다 집 한 채 다 태워
☞ "반가워요 나문희 여사"…중국 한한령 해제 신호일까
☞ "멀쩡하던 고3 딸 희귀질환…백신 인과성 없다" 가족들 분통
☞ 전종서, 이충현 감독과 열애…'콜' 출연 인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