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참위 조사팀 "밸브 고착이 아니라 충격으로 파손"..정상 밸브에도 같은 흔적.."내인설 기각 부족"
[앵커]
세월호 침몰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시한이 이제 6개월 남았습니다.
사참위가 최근 사고원인에 대한 조사 내용을 잇따라 학회에 발표하고 있는데 KBS는 그 내용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초 외부 충격에 의한 침몰 가능성, 이른바 외력설에 대한 조사 내용을 발표한 데 이어, 이번엔 솔레노이드 밸브라는 선내 장치의 고장 여부에 대해 조사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이른바 내인설에 대한 조사 발표인데 세월호 조사팀은 가능성이 낮다는 의견이었습니다.
먼저 홍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월호를 인양한 뒤 찍은 솔레노이드 밸브 사진입니다.
밸브 안의 철심이 나왔다 들어갔다 하면서 유압을 조절해 배의 방향타를 움직입니다.
그런데 고장으로 밸브 안 철심이 고착되면서 유압이 계속 작용해 방향타가 끝까지 돌아가 배가 급선회했다는 게 내인설입니다.
실제 인양한 뒤 밸브를 분해해 보니 밸브의 철심 하나가 안으로 밀려들어간 상태였습니다.
반면 정상 밸브의 철심은 모두 튀어나와 있었습니다
3년 전, 선체조사위원회는 이걸 유력한 침몰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김창준/내인설 주장 선조위 위원/2018년 : "(솔레노이드 밸브 고착으로) 방향타가 그 당시 조타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멋대로 우전타 했다(오른쪽으로 끝까지 돌아갔다)는 것이 저희들 판단입니다."]
그런데 사참위가 고착이 일어났다는 문제의 밸브 덮개 윗부분이 심하게 찌그러진 걸 발견했습니다.
[허성환/사참위 조사1과장/지난달 25일 전원위 : "케이싱(덮개)이 손상되면서 아래쪽으로 눌려졌고 아래쪽에 있는 철심과 러버스토퍼(고무 마개)가 딱 붙어있었다..."]
무언가 밸브 겉면을 때렸고, 금속 덮개가 찌그러지면서 튀어나와있던 철심을 눌러내렸다는겁니다.
[허성환/사참위 조사1과장/지난달 25일 전원위 : "급격한 횡경사(옆으로 기울어짐)가 발생한 이후 시점부터 인양 과정까지의 시점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서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솔레노이드 철심이 고장으로 고착된 게 아니라 외부충격으로 밀려들어갔다는 게 조사팀의 결론입니다.
KBS 뉴스 홍사훈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영상편집:하동우/그래픽:최창준
[앵커]
이런 조사 내용을 근거로 사참위 조사팀은 3년 전 선조위가 두 가지 유력한 사고원인으로 결론 낸 내인설과 열린안 가운데 내인설을 배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KBS 취재진이 조사팀이 공개한 자료를 검증하면서 석연치 않은 점을 발견했습니다.
사참위 안팎에서도 조사 내용을 두고 논란 중입니다.
윤봄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번에 조사팀이 제시한 근거는 크게 두 가지.
솔레노이드 밸브 겉에 있는 금속 덮개가 파손된 점, 그리고 철심에 보이는 희미한 자국입니다.
[허성환/사참위 조사1과장/지난달 25일 전원위 :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에 자세히 보시면 약간 동그란 돌기 모양의 흔적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밀감식 결과 금속 덮개와 철심 사이에 있는 고무마개 문양이었습니다.
[허성환/사참위 조사1과장/지난달 25일 전원위 : "러버스토퍼(고무 마개) 안쪽에 있는 돌기가 이쪽(철심)에 붙었다가 떨어지면서 생긴 흔적이라는 용역 결과를 얻었습니다."]
무언가 금속 덮개를 때리면서 철심을 눌러 내렸는데 이 과정에 철심과 덮개 사이에 있던 고무마개가 압착되면서 철심에 고무마개의 돌기 자국이 남았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었습니다.
이 철심 뿐 아니라 정상적으로 튀어나와 있는 다른 철심에도 고무마개의 돌기 자국이 남아있었습니다.
돌기 자국이 외부충격의 근거가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취재진의 지적에 대해 조사팀은 다른 철심의 돌기 자국을 확인하지 못했다면서, 분석 결과에 문제가 있었음을 사실상 인정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충격으로 금속 덮개가 함몰되면서 고무마개가 밀려 들어간 건 맞다며 솔레노이드 파손 가능성을 고수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3년 전 선조위 조사팀은 보고서에서 외부 충격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적고 있습니다.
[박○○/선조위 조사관 : "전문가들하고 제조사 엔지니어하고 다 봤을 때는 누가 힘을 줘서, 외부에서 힘을 줘서 함몰이 생겼다는 그런 표식은 못 봤어요."]
그러면서 밸브가 고착된 뒤 부식이나 수압에 의해 훼손됐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박○○/선조위 조사관 : "46미터 물 밑으로 들어가면 수압이 4.5 킬로그램힘(kgf) 정도 걸리거든요. 평방센티미터(㎠)당. 굉장한 압이에요."]
사참위 전원위원회에서도 조사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이민/사참위 비상임위원/지난달 25일 전원위 : "물리적 손상이 있었다는 점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고 눌림 현상은 물리적 손상에 의해서만 야기된다고 보기 어려우며..."]
사참위 조사팀은 지금까지 조사 결과들을 토대로 침몰 원인 보고서를 작성해 전원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그 뒤 전원위는 보고서 채택 여부를 최종 결정합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영상편집:하동우/그래픽:김정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홍사훈 기자 (aristo@kbs.co.kr)
윤봄이 기자 (springyoon@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미접종자는 외식·학원수강 제한…사실상 접종 의무화
- 서울대병원 의료진 “병원장이 긴급병상 입원 지시”…“통화 자체가 청탁”
- 일상회복 잠시 멈춤…사적모임 6인으로 줄이고 식당·카페 방역패스
- “연말 대목인데 예약 모두 취소”…자영업자들 다시 막막
- 길고양이 집으로 데려와 ‘잔혹 학대’ 30대 집행유예
- “취소도 안 되는데”…10일 격리에 신혼부부 ‘울상’
- 오늘도 ‘욕먹을’ 각오하고 지하철에 탔다
- [특파원 리포트] 아버지가 독재에 기여했다면, 딸은 걸그룹 스타가 될 수 없을까
- ‘고교 야구 학폭 잔혹사’…무너진 유망주의 꿈
- 고창 운곡마을·신안 퍼플섬…UN관광기구 ‘최우수관광마을’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