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62% "총기사용 등 경찰 적극 대응 지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찰의 적극적인 물리력 행사가 필요하다는 여론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투표 시스템 더폴에 따르면, 진압 시 경찰의 총기 사용 권한을 좀 더 자유롭게 풀어줘야 한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2.29%가 치안 유지를 위해 진압 시 경찰에게 더 강력한 권한과 자유를 줄 필요가 있다는 쪽에 투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찰의 적극적인 물리력 행사가 필요하다는 여론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투표 시스템 더폴에 따르면, 진압 시 경찰의 총기 사용 권한을 좀 더 자유롭게 풀어줘야 한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2.29%가 치안 유지를 위해 진압 시 경찰에게 더 강력한 권한과 자유를 줄 필요가 있다는 쪽에 투표했다.
이 설문조사는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일까지 3만855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21.82%는 과잉 진압으로 인해 억울한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고 시민의 자유를 침해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며 반대했고, 15.89%는 ‘잘 모르겠다’고 밝혔다.
최근 벌어진 인천 흉기난동 사건과 관련해서는 경찰의 대응에 문제가 있다고 한 응답자가 77.25%였고, 10.08%는 최선의 대응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여경 할당제에 대해서는 56.06%가 반대했다. 경찰 업무는 신체적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할당 없이 평가와 능력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할당제가 필요하다고 한 응답자는 28.91%에 불과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임원은 7만원, 대리는 3만원”...프랭크버거, 대표 회갑연 강제수금 논란
- [2차전지 대해부] 노다지로 떠오른 폐배터리 재활용
- 치솟는 구글 점유율에 흔들리는 네이버·카카오
- "우린 서울시 제물인가" 참고 참다 결국 폭발한 주민들
- 민주당 혁신위원장 이래경 “자폭된 천안함” “코로나 진원지는 미국” 과거 발언 논란
- 文 “경제학 전문가에만 맡기면 지배 이데올로기에 휘둘리게 돼”
- 美 첼시마켓 꿈꾸던 롯데웰푸드 영등포 공장 개발안...1년째 감감무소식
- 현대차 車엔진 전문가, 우주로켓 스타트업으로 간 이유
- 美 줄리아드 출신 바이올리니스트, 단백질바로 연매출 170억… 오리온 제쳐
- 韓은 호재… 中주식 계속 사던 외국인들 움직임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