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하고 사라진 시한부 환자..생사 모르지만 "감사해요"

서창우 2021. 12. 3. 20: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시한부 판정을 받은 한 50대 여성이 지난해 한 보육원에 1억 8천만 원을 기부했는데, 덕분에 낡고 어두운 곳에서 생활하던 아이들이 좀 더 쾌적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제 더이상 연락이 닿지 않는 기부자에게 방송을 통해서라도 진심을 전하고 싶다면서 아이들이 감사의 마음을 보내왔는데요.

서창우 기자가 전해드리겠습니다.

◀ 리포트 ▶

창문틀에서 비오듯 물이 뚝뚝 떨어집니다.

천장엔 얼룩덜룩 곰팡이가 피어 있습니다.

햇볕도 잘 들지 않아 어두컴컴합니다.

아동 40명이 머물고 있는 경남 진해 희망의 집입니다.

[경윤호/진해의 집 원장] "(건물 리모델링은) 정부 보조를 받아서 충당하기에는 위험도가 굉장히 좀 높아야지 현실적으로 지원이 되거든요."

여기에다 보육원 규모도 작다 보니 후원금조차 모으는 게 쉽지 않아서, 지난 20년 간 제대로 된 리모델링조차 못했던 겁니다.

[진해 희망의 집 거주 학생] "여름 때 비도 많이 오잖아요. 그때 물이 엄청 새어가지고…"

그러던 중 올해 초 이곳에, 천여만 원의 후원금이 전달됐습니다.

리모델링은 약 한달간 이뤄졌고, 숨이 턱 막혔던 집엔 활기가 돌았습니다.

[김가령/진해 희망의 집 거주] "공부할 때도 편하고 공기도 좋고, 아침에 환기시킬 때 이쪽에 잘 환기시키면 공기가 잘 들어와서…"

후원금을 선뜻 내놓은 이웃은 시한부 판정을 받은 50대 여성.

지난해 10월 아동과 청소년에게 써 달라며 1억 8천만 원을 기부했습니다.

이름을 알리지 않는 게 유일한 조건이었습니다.

[이민우/경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공헌팀] "시한부 인생이라는 이야기를 하셨고요. 이웃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었다는 (생각에 기부를 하셨습니다.)"

이런 기부자의 뜻에 아이들은 감사한 마음을 담아 영상도 만들고,

"후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심을 꾹꾹 눌러 쓴 손편지도 준비했습니다.

하지만 끝내 '부치지 못한 편지'가 됐습니다.

이따금씩 기부금이 잘 쓰이고 있는지 두어차례 확인하는 게 전부였던 기부자의 연락이 지난 봄부터 뚝 끊겼기 때문입니다.

이젠 생사 여부조차 알 수 없는 상황.

결국 아이들은 방송을 통해서라도 자신들의 진심을 전하기로 했습니다.

[김가령/진해 희망의 집 거주] "저도 커 가지고 플로리스트가 되어서 이런 데에서 봉사하고 살고 싶어요. 그분처럼…"

MBC뉴스 서창우입니다.

영상취재: 장성욱/경남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장성욱/경남

서창우 기자 (realbro@mbcgn.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320838_34936.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